2024 총선 야권 승리에…밸류업 모멘텀 상실·금투세 폐지 부정 영향 전망
2024년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 조국혁신당 등 ‘범야권’이 압승하면서 금융투자업계에선 이같은 결과가 국내 주식 시장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정부의 밸류업 정책은 사실상 모멘텀(상승 동력)을 상실한 상황”이라면서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유예 여부가 더 많이 논의될 것으로 봤다. 금투세 폐지에 관련해선 “부자 감세가 될 수 있다는 논란을 피해가기 어렵다며 유예가 연장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봤다.
11일 이웅찬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여소야대 총선과 급등한 3월 물가’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원은 “총선 개표 결과 여야간 격차는 사상 최대수준”이라며 “밸류업 정책의 모멘텀 상실은 불가피하고, 5일 이후 밸류업 정책은 예정대로 이어지겠지만 주가 부양은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함께 “밸류업 정책보다 금투세 유예 여부가 많이 논의될 것”이라는 견해를 전했다.
밸류업 프로그램은 현 정부의 증시 부양책이다. 주주환원 노력이 높이 평가된 기업들에 세제 등 여러 혜택을 주는 것으로, 낮은 수준의 주가순자산비율(PBR) 주식이 주목받는 계기가 된 바 있다.
금투세는 국내외 주식·채권·펀드·파생상품 등 금융상품을 환매하거나 양도할 때 발생하는 소득을 금융투자소득으로 묶어 통합 과세하는 세제다.
금융투자수익 합계가 5000만원 이상일 경우 20%, 3억원을 초과하면 25% 세율을 적용한다. 금투세는 앞서 지난해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개인 투자자의 반발에 2025년까지 유예됐다.
이 연구원은 이와 관련 “야당이 선거에서 승리했고 제정된 법안을 고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금투세 폐지는 부자 감세가 될 수 있다는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 금투세 유예가 연장될 가능성은 높지 않고 반대급부로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에 대한 수혜 확대 등 여러 방안이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개인투자자 이탈, 사모펀드 과세 등 지시에 미치는 영향은 연말로 갈수록 확실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이투자증권은 더불어 3월 중순부터 보이고 있는 글로벌 경기 회복세에 주목했다. 이에 따라 추천 업종을 경기민감주 위주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삼성전자에 이어 삼성전기, LG전자 등 IT 하드웨어를 우선하는 가운데 소재, 산업재에서도 기회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달러 강세, 금리인하 지연으로 소재, 산업재의 반등은 다소 약화될 수 있고 증시 전반도 조정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한경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