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태영건설, 더 적극적인 자구안 필요”
태영건설이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을 위한 자구안을 채권단에 제시했다. 이에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자구안 내용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해 워크아웃에 난항이 예상된다.
특히 산업은행은 태영건설이 제1차 채권단협의회가 예정된 이달 11일까지 더 적극적인 자구안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태영건설은 앞서 3일 KDB산업은행 여의도 본점에서 채권자들을 상대로 설명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엔 태영그룹 창업주인 윤세영 회장과 아들인 윤석민 태영그룹 회장이 참석했다. 설명회에 참석한 채권 금융기관만 600여 곳, 700여 명에 달했다.
윤 창업 회장은 “어떻게든 정상적으로 사업을 마무리 짓고 제대로 채무를 상환할 기회를 주면 임직원 모두 사력을 다해 태영을 살려내겠다”는 내용의 호소문을 읽었다.
태영건설은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1549억원을 태양건설에 지원하고, 계열사인 에코비트를 팔아 매각 자금을 태영건설에 지원하는 방안을 내놨다.
또한, 골프장 운영업체 블루원의 지분 담보 제공과 매각을 추진하고, 평택싸이로 지분 62.5%를 담보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채권단 관심 사항인 오너 일가의 사재 출연 규모나 SBS 지분 매각 가능성에 대해선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다.
주 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태영건설의 자구안 약속이 첫날부터 지켜지지 않았으며 자구노력도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당초 티와이홀딩스는 태영인더스트리 매각자금 중 1549억원을 태영건설에 지원하기로 산업은행과 약속했지만, 확보한 자금을 티와이홀딩스의 채무를 갚는 데 사용했기 때문이다.
양재호 산은 기업구조조정1실장은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1549억원을 태영건설로 넣어야 했지만, 티와이홀딩스 채무변제에 활용하고 400억원만 넣었다”며 “3일 낮 12시까지 1149억원을 넣으라고 했지만 티와이홀딩스 채무 변제에 계속 활용해야 하는 상황이라 어렵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4가지 자구안이 첫날부터 지켜지지 않아 실망스럽고, 현재까지는 워크아웃을 진행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한다”며 “이달 11일까지 태영그룹이 과감하고 적극적인 자구안을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 역시 “자구안을 제출하지 않고 그냥 열심히 하겠다는 것만으로는 상식적으로 채권단이 워크아웃에 동의할 것이라고 기대하기 매우 어렵다”며 “태영 측에 강력한 자구계획안을 제출할 것을 종용하겠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이라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