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올해의 CEO…변화·혁신으로 경제위기 뛰어넘다

파이낸셜투데이 주관·에프앤가이드 데이터 제공, 실적 성장률 종합평가 업종별 최고 실적 낸 CEO 선정, 최창원 송호성 전창원 등 28인 뽑혀

2023-12-18     한종해 기자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세계적인 고금리 장기화 기조, 보호무역주의 및 공급망 교란, 러-우, 이-팔 전쟁 등 2023년은 반전에 반전이 연속이었던 한 해였다. 내년 전망은 더 어둡다. 기업들이 성장보다는 ‘생존’이 급해진 이유다.

교토삼굴(狡兔三窟). ‘지혜로운 토끼는 위기를 벗어날 세 개의 피신처를 만든다’는 뜻이다. 언제 닥칠지 모르는 위기에 대비해 플랜A,B,C를 만들어 놓고 민첩하게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 수천명의 밥그릇을 책임지는 최고경영자에게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지혜다.

계묘년 ‘검은 토끼의 해’를 마무리하며 ‘2023 올해의 CEO’ 28명을 선정했다. 파이낸셜투데이가 주관하고, 데이터 제공은 에프앤가이드가 담당했다. 불확실한 대내외환경 속에서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으로 생존 전략을 마련하고, 성장을 이끈 것이 이들의 공통점이다. 에너지, 철강, 건설, 자동차, 식음료, 유통, 금융 등 21개 업종에 걸쳐 매출액, 당기순이익, 시가총액 등 3가지 항목의 2022년 대비 2023년 성장률(1~3분기 누적)을 종합 평가했다. 

먼저 에너지 부문에서는 전면적인 사업 재편을 실시, 최고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조직으로 탈바꿈시킨 SK디스커버리 최창원 부회장이 최고 경영자에 올랐다. 또 상사·자본재 부문에서는 두산 박정원 회장이 1위를 기록했다. 

건설에서는 공동 1위가 나왔다. 어려운 업황 속에서도 실적을 끌어올린  화성산업의 이종원·최진엽 대표와 현대산업개발의 정몽규 대표가 이름을 올렸다. 기계 부문은 효성중공업의 요코타타케시·양동기 대표가 올해의 CEO로 선정됐다.

조선에서는 올해 새롭게 한화그룹 가족이 되며 눈부신 성장을 이뤄낸 한화오션 권혁웅 대표가 차지했고, 가장 핫한 한해를 보낸 에코프로비엠의 주재환·최문호 대표는 2차전지 부문에서 최고의 CEO 영예를 안았다.

자동차 부문에서는 해외 경쟁력을 크게 강화시킨 기아의 송호성 대표가, 엔터ㆍ미디어ㆍ교육부문에서는 BTS 공백 우려를 불식시킨 하이브의 박지원 대표가 선정됐다.

금융 분야 올해의 CEO로는 김기홍 JB금융지주 회장(지주ㆍ은행 부문)과 궈밍쩡 유안타증권 대표(증권 부문) , 김재식 미래에셋생명 대표(보험 부문)가 이름을 올렸다.

사상 최대 실적 달성을 바라보고 있는 전창원 빙그레 대표(식음료 부문), 핵심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수익성 위주 경영전략을 펼친 허연수 GS리테일 대표(유통 부문)도 올해의 CEO로 뽑혔다. 

제약 부문에서는 역대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는 중인 한미사이언스의 송영숙 대표와 휴온스글로벌의 송수영 대표가 공동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밖에 ▲이주성·김태현 세아제강지주 대표 (철강 부문)▲정홍근 티웨이항공 대표 (운송 부문)▲심상배·이병주 코스맥스 대표(화장품ㆍ의류 부문) ▲정우진 NHN 대표(게임 부문) ▲유영상 SK텔레콤 대표(통신서비스 부문) ▲구자용 E1 대표(유틸리티 부문) 등이 2023년을 빛낸 CEO에 선정됐다.

◆올해의 CEO, 어떻게 선정했나

파이낸셜투데이는 CEO를 평가하는 여러 가지 기준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적이라는 점에 착안해 업종별로 2023년 가장 좋은 실적을 기록한 CEO를 선정했다. 업종은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의 분류법에 따라 에너지, 철강, 건설, 조선, 자동차, 금융, 유통 등 21개를 대상으로 했다. 반도체 등 업종 내 주요 기업이 올해 들어 역성장을 한 업종은 대상에서 제외했다. 

평가는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된 올해 1~3분기 누적 매출액 5000억원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매출액, 당기순이익, 시가총액 등 3가지 지표의 2022년 대비 2023년 성장률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전년 1~3분기 누적 실적 대비 올해 1~3분기 성장률을 비교했고, 시가총액은 올해 거래 첫날인 1월 2일 시총 대비 3분기 말(9월 27일) 시총을 비교해 가장 많이 증가한 순위로 나열했다.

최종평가는 3가지 항목의 순위 총합을 구해 총합이 가장 낮은 기업을 1위로 선정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업종 평가대상 기업이 20개이고, 기아가 3가지 항목 모두 1위이면 순위총합이 ‘3’이되어 전체 1위가 되고, A기업이 모두 꼴찌라면 순위 총합은 ‘60’이 돼 전체 20위가 되는 식이다.

파이낸셜투데이 한종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