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앞둔 새누리당 전당대회 입체분석


[파이낸셜투데이=박선우 기자]당의 존립조차 위기에 처했던 새누리당이 4월 총선에서 극적으로 승리하면서 기사회생했다. 이제 이번 총선 승리의 동력을 가지고 12월 대선전을 승리로 이끌 총사령관이 필요할 시점이다. 이에 새누리당은 내달 중순 전당대회를 열기로 했다.

현재 새누리당은 박근혜 정당으로 재편 됐다. 문제는 박근혜 비상대책이원장이 갖고 있는 아킬레스건 때문에 누가 당 대표가 되느냐에 따라 이번 대선전 승리를 가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박 위원장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런 와중에 각 계파간 유불리에 따라 벌써부터 갈등이 표출 되고 있고 암암리에 혈투가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파이낸셜투데이>가 새누리당의 전당대회를 입체 분석 해봤다.

올해 초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였던 새누리당이 4월 총선의 압승을 거두었다. 당초 120석도 못 거둘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152석이라는 성적표를 거뒀다. 이번 성적표를 통해 박근혜 위원장의 위력을 실감케 했다. 결국 이번 총선 승리로 새누리당에서는 박 위원장을 능가할 대권 주자가 나오기 힘든 상황이 됐다.

물론 정몽준 전 대표나 이재오 의원 등이 생환됐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박 위원장을 비견할 그런 상황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새누리당은 내달 즉 5월 중순에 전당대회를 열기로 했다. 그동안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였지만 이제 정상 가동을 하겠다는 것이다. 비대위 체제에서 정상 가동이 된다면 박 위원장은 물러나서 이제 본격적인 대선 가도를 달릴 것으로 관측된다.

그렇기 때문에 박 위원장 입장에서 보면, 차기 당 지도부는 관리형 당 대표를 세워야 하고 대선전을 승리로 이끌 총 사령관이 필요한 것이다.

사실상 새누리당에서 박 위원장을 비견할 대권 주자가 나오기 힘들게 됐기 때문이다. 이번 총선을 통해 새누리당은 친이계는 청산하고 친박계로 당을 만들었다. 수없이 많은 친이계는 공천 과정에서 청산되고, 총선 과정에서 걸러졌다. 아울러 이번 총선 과정에서 박 위원장의 힘을 실감했다. 따라서 박 위원장이 대권 주자로 나서는 것에 대해 이제 누구 하나 반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박근혜 대통령으로 만들겠다’는 사람이 앞 다퉈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박 위원장에게는 대선 본선을 관리하는 관리형 당 대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당 안팎에서도 대선 경선은 사실상 물 건너 간 것이고, 대선 본선을 관리하는 관리형 당 대표가 돼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속된 말로 ‘박근혜 아바타’ 대표를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경선 과정을 거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많은 정치전문가들은 형식적인 경선이 될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박 위원장을 대항할 그런 대권 주자가 없기 때문이다.

다만 정몽준 전 대표나 이재오 의원 그리고 김문수 경기지사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그 파괴력은 미미하다는 것이다. 정치전문가들은 이번 총선을 통해 박 위원장의 힘을 실감한 상태이고, 이들 중 대권 도전을 선언하는 사람들이 있겠지만 그를 넘어서기는 힘들다는 것이 공통된 분석이다.

그럼에도 일부 전문가들은 이들 중 대권 도전을 선언하고, 친이계가 사실상 말살 된 가운데 자신들의 존재감을 알리기 위한 ‘박근혜 흔들기’에 들어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이 과연 얼마나 먹혀들어갈지는 미지수다.

그러나 이들의 위력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새누리당은 경선 보다는 오히려 대선 본선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선 본선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관리형 당 대표가 필요하다는 것이 선거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마찬가지다. 박 위원장을 사실상 대권 주자로 앉히고, 관리형 당 대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이번 전당대회에서는 소모적 논쟁은 피하자는 분위기다.

박 위원장을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한 당 지도부이기 때문에 누가 주도권을 잡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황 대변인이 “이번 전당대회는 소모적이고 과열된 분위기를 가능한 지양하고 조용하면서도 내실 있게 치르겠다”며 “현재 20만명으로 돼 있는 선거인단 규모도 적절히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선거 결과 뜯어보면 새누리 ‘수도권 패배’
그러나 현재 비대위 바람대로 소모적 논쟁을 지양하고, 내실 있는 당 지도부를 선출하기에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벌써부터 수도권 당 대표론과 부산·경남 당 대표론이 격돌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이번 총선 결과에 나타난 민심 때문이다. 이번 총선 결과를 표면상으로면 보면 확실히 새누리당의 승리이다. 하지만 찬찬히 뜯어보면 결코 새누리당이 완승했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152석이라는 과반 이상을 획득했지만 득표수에서는 야권에 뒤지기 때문이다. 총 유효득표수 2천154만5천326표 가운데 새누리당은 43.3%인 932만4천911표, 민주당은 37.9%인 815만6천45표를 각각 얻었다. 표 차이는 116만8천866표였다. 문제는 통합진보당의 득표수를 합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통합진보당 득표수 129만1천306표(총 득표 수의 6%)를 민주통합당를 합산할 경우 944만7천351표가 돼 새누리당이 오히려 12만2천440표로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과 인천·경기 등 수도권의 경우 새누리당은 479만8천433표를 획득한 반면, 민주당이 469만8천358표를 획득했다. 또한 통합진보당이 39만7천704표 획득해서 야권연대가 30만 표 가량 더 많게 나왔다. 즉 단순하게 표만 계산을 해봐도 수도권에서는 새누리당이 패배한 것이다.

그렇다고 부산·경남이 안전하냐 하면 그렇지도 않다는 것이다. 물론 부산·경남에서 새누리당이 압도적인 의석수를 차지했지만 실제로 득표수를 따지고 보면 부산·경남의 승리도 불안 하다.

부산·경남 지역구 득표를 분석한 결과 새누리당은 부산에서 78만4124표를 얻은 반면 민주·진보당 등 야권연대는 61만6785표를 획득한 것으로 집계됐다. 새누리당 득표의 78.6% 수준이다. 울산에선 26만2250표(새누리당) 대 19만740표(야권연대), 경남에선 74만4617표(새누리당) 대 41만8331표(야권연대)로 집계됐다. 과거 김대중 전 대통령(15% 지지율) 및 노무현 전 대통령(30% 지지율)과 비교할 때 보다 상당한 득표율이다.

정당투표에서도 PK의 아성이 서서히 무너지고 있다는 것이다. 야권연대에 표를 던진 부산 유권자는 40.2%(민주 31.8% 진보 8.4%)로 51.3%의 정당 득표율을 기록한 새누리당과 차이를 11%포인트 정도로 좁혔다. 18대에선 18%(야권연대) 대 43.5%(새누리당)를 기록했었다. 야권연대는 경남에서도 36.1%, 울산에서도 41.5%의 득표율을 보여 18대 21.1%, 30.8%씩보다 높아졌다는 것이다.

비록 부산에서 2석 밖에 내주지 않았지만 실제로 득표수에서 본다면 심상치 않은 결과라는 것. 따라서 부산·경남 민심 역시 무시 못 하는 상황이다. 이는 12월 대선에서 박 위원장이 대통령이 되기 위해서는 집토끼인 부산·경남 민심을 잡는 동시에 산토끼인 수도권 민심을 잡아야 하는 그런 과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만약 집토끼나 산토끼 모두 놓치게 된다면 박 비대위원장의 대권 가도는 그야말로 빨간 불일 수박에 없다. 총선에서 아무리 이겨도 대선에서 패배한다면 ‘말짱 도루묵’이 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깊은 고민에 빠져 있다. 어떻게 하면 집토끼와 산토끼 모두를 잡을 수 있을지에 고민하고 있다는 얘기다.

결국 당 대표를 누구를 앉히느냐가 가장 중요한 숙제로 떠올랐다. 이런 이유로 집토끼를 잡아야 한다는 여론과 산토끼를 잡아야 한다는 여론으로 뒤섞여 있다. 집토끼를 잡아야 하기 때문에 부산·경남 출신 인사가 당 대표에 앉아야 한다는 ‘PK 대표론’과 산토끼를 잡아야 하기 때문에 수도권 출신 인사가 당 대표에 앉아야 한다는 ‘수도권 대표론’이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PK 김무성 VS 중원 강창희 VS 수도권 황우여 ‘팽팽’
부산·경남 출신 당 대표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공통된 주장이 김무성 의원의 당 대표론이다. 사실 김 의원은 이번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승리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천 과정에서 낙천에 불만을 품은 부산·경남 지역 상당수 후보자들이 불복, 탈당 후 무소속 출마 등을 고려했다. 하지만 김 의원이 결국 총선 불출마와 함께 백의종군을 선언했다. 이로 인해 부산·경남 지역 상당후 후보자들이 총선 불출마 선언을 하면서 사실상 무소속 출마가 사라진 것이다. 이후 부산·경남에서 승리를 거둔 것이다.

만약 김 의원이 무소속 출마를 했다면 새누리당은 152석이라는 의석수를 채우지 못했을 것이라는 것이 김무성 당 대표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근거다. 즉, 김 의원이 만약 당 대표가 되지 않는다면 대선에서 부산·경남 민심이 상당수 등을 돌릴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야권에서는 문재인 상임고문이나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유력하면서 사실상 부산·경남 민심이 반으로 분열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두 사람 모두 부산 출신이기 때문에 민심이 분열될 것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김 의원이 당 대표로 앉아서 부산·경남 민심을 하나로 연대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수도권 당 대표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수도권 민심을 잡아야 대권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수도권 당 대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수도권 유권자가 전체 유권자의 절반을 차지하기 때문에 수도권 표심을 잡지 않고서는 대선 승리는 보장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황우여 현 원내대표와 남경필 의원, 정병국 의원, 정두언 의원 등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황 원내대표는 비주류로 친이-친박도 아닌 중립적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현 원내대표로 한미FTA 비준동의안 처리 등의 혁혁한 공을 인정, 원내대표 역할을 충실히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 수도권 30~40대 유권자의 표심을 잡기 위해서는 수도권 젊은 당 대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에 남경필, 정병국, 정두언 의원의 이름이 거론되는 것이다. 즉, 젊은 유권자의 표심을 잡기 위해서는 수도권 젊은 의원이 당 대표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박근혜 아바타’ 놓고 박근혜의 고뇌

이처럼 수도권 당 대표론과 부산·경남 당 대표론이 부딪히면서 전당대회는 다소 과열 양상으로 치달을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진정한 친박 인사가 당 대표가 돼야 한다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 이에 강창희 의원에게 힘이 실려지고 있다.

강 의원은 충청권 출신. 따라서 수도권 당 대표도 아니고, 부산·경남 당 대표도 아닌 충청권 당 대표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예의주시해야 할 것은 차기 대권 주자들의 행보이다. 비록 박 위원장 중심의 당 대표가 됐다고 하지만 차기 대권 주자들은 대선 경선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들이 자신들에게 불리한 경선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자신들의 인물이 당 대표가 돼야 한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렇게 된다면 당 대표는 관리형 당 대표가 아닌 본격적인 세 대결을 위한 당 대표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차기 대권 주자가 누가 나오느냐에 따라 박근혜 중심의 당 지도부가 아닌 중립적 당 지도부가 구성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어쨌든 비대위에서는 전당대회를 조용하고 차분하게 치르려고 하고 있지만 뜻대로 되질 않고 있다. 다만 누가 당 대표 자리에 앉게 되든지 박 위원장의 대권 가도에는 걸림돌이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이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