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강선(서울~강릉선) 고속철 문제점 속속…레일이 열차 속도 못견뎌
고속철 소음 주요 원인, 안전사고 위험 도사려

경강선 고속철도 시범운행 장면.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년 말 개통된 서울~강릉간 고속철(이하 경강선)에서 문제점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2017년 12월22일 완공된 경강선은 동서를 가로질러 서울과 강릉을 잇는 고속철도로,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제3차 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라 설계됐다.

특히 경강선은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에 발맞춰 신설되어 그 의미를 더했다. 경강선 고속철도 레일이 견딜 수 있는 최대시속은 250km이다. 서울과 서원주까지 102.4km구간과 원주~강릉 간 120.7km 구간에 복선 고속철도를 개통했다.

코레일은 경강선 터널과 교량을 순수 우리 기술로 만든 최첨단 공법을 뽐냈다.

그러나 코레일은 시속 250km 이내만 견딜 수 있는 경강선 고속철도 레일 위에 시속 300km의 고속열차를 달리게 했다.

경강선을 달리는 고속열차는 ‘KTX산천’으로 현대로템으로부터 150열량을 수주했다. 열차 1량당 가격은 대략 32억 9000만원이었다.

이와 관련 현대로템의 근무자였던 A씨는 “철도 레일을 깔 때 열차 최고속도를 고려해서 깔아야 한다며 ”철도 자체가 몇 km속도까지 허용하는 범위 내에 깔게 돼 있다. 그래서 경부선이나, 호남고속선의 경우에는 시속 300km까지 허용하는 범위에서 깔려 있다”고 밝혔다.

또 그는 “경강선 고속철도 레일이 견딜 수 있는 최대시속은 250km에 불과하다”며 “KTX와 KTX산천이 내는 최고시속은 330km내외로, 레일이 열차의 시속을 견딜 수 없게 설계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강선·경부선·호남고속선 모두 그 위를 달리는 고속열차는 코레일이 원하는 운행속도를 맞춰야 한다”며 “열차가 내는 속도를 철도가 따라와 주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일부에서는 고속열차 시속과 맞지 않게 설계된 철도로 인해, 안전 부주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고속철도를 달리는 KTX와, KTX산천의 고속열차 운행 시속은 320km내외로 규격화 되어 있다.

반면 경부선과 호남선, 신설 복합철도 노선인 경강선 고속철도가 견디는 시속은 고속열차가 달리는 최대 시속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해서 A씨는 “지금 현대로템이 최고로 돌파한 고속열차의 속도는 시속 350km”며 “그 이상의 속도도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달리는 열차와 철도가 견디는 시속이 다른 것은 철도 길이에 대한 효율성만을 제고 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열차가 달릴 때 나는 소음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열차 궤도와 열차가 맞지 않아 생긴 문제다”고 답했다.

이 같은 지적에 업계관계자인 B씨는 “열차가 달리는 최고 시속과 레일이 견디는 시속이 서로 다를 경우 거기에 투입되는 보수공사비와 인력 충원비용, 혹여 모를 사고에 대한 위험 모두 끌어 안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궤도와 열차가 맞지 않아 나는 소음으로 인해, 비상시에 열차가 최고시속으로 달리게 도리 경우 자칫 선로 이탈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지난달 27일 ‘2018 남북 정상회담’이후 남북한을 잇는 제4차 철도건설산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남북한이 서로 경제교역을 하게 되면 가장 먼저 이뤄내야 할 숙원 과제 중 하나가 통일로를 잇는 교통허브 건설이기 때문이다.

통일로를 잇게 되면 세계 경제와 무역에 물꼬를 터주게 되며, 철도산업 조선업과 해운업에만 의존해 왔던 우리 경제 성장에 큰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현재 미국과 프랑스, 독일 등 열차 선진국들은 에너지 효율화에 집중하고 있다. 열차의 시속을 빠르게 해, 적은 연료만으로도 먼 거리를 단시간 안에 도착할 수 효과를 가지게 하는 기술로 세계교통 패권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2013년 미국 테슬라사는 시속 1200km 튜브 열차(하이퍼루프) 개발을 시작했다. 우리나라도 뒤따라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시속 1000km 튜브 열차 사업을 소규모 예산으로 시작했다.

그러나 정작 코레일이 건설한 고속철도 레일이 견디는 최고시속은 250km에 머물러 있는 구간이 많아, 국내 열차 기술 개발에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파이낸셜투데이 조희경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