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 병을 성병이라 하며,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성병종류가 존재한다. 이러한 성병은 환자로 하여금 수치심을 유발하기 때문에 성병증상을 발견하고도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안일한 대처는 후에 남자성병증상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곤지름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콘딜로마로도 불리는 곤지름은 성기 부위에 생기는 사마귀의 일종이다. 이는 인체유두종바이러스(HPV)가 곤지름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남자성병처럼 곤지름 또한 성 접촉에 의해 감염된다. 그 확률이 높은 편인데, 한 번의 성 접촉으로 무려 50% 이상 감염될 수 있다.

남자곤지름 초기에는 표면에 윤기가 나는 작은 구진이 올라오는 정도이기에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구진이 모여 산딸기나 닭 볏 모양을 이룬다. 어느 정도 증상이 발전한 상태에서는 육안으로도 쉽게 곤지름증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곤지름을 내버려두면 그 크기가 커지고 부위가 넓어지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성기 뿐 아니라 항문으로까지 남자곤지름 증상이 전이될 수 있다. 그러면 곤지름치료가 더 힘들어지고 기간도 길어지기 때문에 성기에 구진이 돋아났다면 서둘러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하지만 치료를 받았다 하더라도 완전히 마음을 놓을 순 없다. 그 이유에 대해 강남구비뇨기과 스탠탑비뇨의학과 김도리 원장은 “곤지름은 치료를 받더라도 재발이 잦은 질환”이라며 “치료 후에도 인체유두종바이러스가 인체에 잠복해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곤지름재발을 막기 위해선 체계적인 치료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정확한 진단을 통한 맞춤 치료를 적용해야만 증상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김 원장은 “곤지름은 매독 2기와 비슷하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선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며 “확실한 곤지름증상 파악을 위해 일반검사부터 혈액검사, PCR검사 등 체계적인 남성비뇨기과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중 PCR검사는 분비물이나 소변을 통해 얻은 DNA를 추출하는 검사법이다. 이를 통해 곤지름증상을 세부관찰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매독검사도 가능하기에 남자성병검사로도 쓰인다. 무엇보다 PCR검사를 받으면 하루 안에 진단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정밀한 진단 후 스탠탑비뇨의학과에 따르면 약물치료, 냉동요법, 레이저치료 중 적절한 치료법을 적용한다. 초기 곤지름인 경우 바르는 약물을 통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좁은 부위 발생한 곤지름은 냉동질소를 이용해 환부를 얼린 후 치료하는 냉동요법을 통해 개선 가능하다.

곤지름의 크기가 이미 어느 정도 커진 상태에서는 레이저치료가 실시된다. 레이저치료를 통해 주변 조직 손상 거의 없이 대부분의 곤지름을 치료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김 원장은 “특히 분진흡입 설비를 통해 레이저치료 시 안전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면서 “분진 탓에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호흡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차단했기에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방치하면 악화되기 쉬운 곤지름은 증상이 있을 시 병원을 찾아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해야 한다”며 “부위와 증상, 유형에 따른 적절한 치료법이 적용된다면 곤지름이 재발되는 상황은 벌어지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영권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