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앞으로의 금리인상 정책과 관련해 “총재 연임 여부와 연관지어 예상하는 것은 정책의 일관성 측면에서 볼 때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한은에 따르면 이 총재는 15일 김정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답변서에서 ‘금리인상이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하는 모습’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 총재는 앞으로의 통화정책방향은 우리나라 경제전망의 경로 변화를 다시 짚어보고 이달 열리는 미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결과 등을 고려하면서 신중히 판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이달 21일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그렇게 되면 미국의 금리는 연 1.50~1.75%로 올라가 우리나라 기준금리(연 1.50%)보다 상단이 높아지게 된다.

이 총재는 “지난 1월 경제전망 이후 전망경로에 영향을 미칠 만한 국내외 여건 변화가 적지 않다”며 “미 연준의 3월 FOMC도 곧 개최되는데 그 결과에서 파악할 수 있는 연준의 정책방향과 예상되는 영향도 가늠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경기와 물가 흐름, 금융안정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경제가 직면한 주요 과제 5가지와 대응방안’으로는 보호무역주의 강화 움직임을 주요 과제 중 하나로 꼽으며 “범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는게 긴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보호무역주의 확산은 우리 경제의 주요 성장동력인 수출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며 “통상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관련국과의 교섭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수출 다변화와 비가격경쟁력 확보 등으로 급변하는 교역여건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하는 점도 강조했다.

이밖에 이 총재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생산성 향상, 신성장동력 발굴 육성,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적극 대응 등을 우리 경제가 직면한 주요 과제로 내세웠다.

이 총재는 “우리 경제의 성장세는 반도체 등 일부 산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이들 산업의 부침에 따라 경제가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개발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2000년대 이후 잠재성장률이 하락한 것은 대부분 생산성 둔화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규제완화와 노동시장 효율성 제고, 기업구조조정 등을 일관되게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총재의 연임 여부를 위한 국회 인사청문회는 21일 열린다.

파이낸셜투데이 신혜정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