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대외경제정책연구원

[파이낸셜투데이=이일호 기자] 600억달러대까지 올라갔던 한국의 대중국 무역수지가 최근들어 375억달러까지 떨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발표한 ‘한국의 대중국 무역수지 변화와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대중국 무역수지는 375억원이다. 대중국 무역수지는 1993년 12억 달러로 흑자 전환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3년에는 628억 달러로 확대되었으나 최근 들어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한중 교역 대비 흑자 비율도 1993년 13.5%에서 2004년에는 25.4%로, 2013년에는 27.4%로 확대됐지만 2016년에는 17.7%까지 하락됐다.

한국의 대중국 무역흑자 축소는 ▲중국의 수입대체 추진과 가공무역 규제 ▲재중 한국기업의 현지 생산 및 조달 강화 ▲중국의 수입구조 변화와 한국의 수출상품 연계성 약화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은 1990년대 중반에는 소비재를 중심으로 수입대체를 추진했지만 WTO가입과 내수 중심 성장전략을 표방한 2000년대 후반 이후 자본재와 중간재를 중심으로 수입대체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중국정부가 가공무역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중국의 수입구조가 가공무역에서 일반으로 중심 구조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동시에 가공무역에서 수입대체도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해 대중국 무역 흑자 품목은 석유제품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패널, 통신기기부품, 자동차부품, 합성수지, 자동차 전지, 식료품 등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소득 수준 향상과 한류의 확산 등으로 화장품 등 생활화학제품과 식료품이 새로운 대중국 흑자 품목으로 부상했다.

하지만 중국이 자국 내 부품과 소재 산업의 국산화 및 수입대체를 추진하고 있고, 향후 대중국 주력 흑자 품목에 대한 국내 기업의 투자 확대와 현지 생산 강화, 중국의 새로운 수입 증대 상품에 대한 한국의 공급능력 부진 등으로 한국의 대중국 무역흑자 규모가 점차 줄어들 가능성이 커졌다.

양평섭 동북아경제본부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중국산 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해 중국의 수입대체에 대응하는 동시에 중국의 수입수요 구조변화에 부합한 맞춤형 공급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품과 소재의 고부가가치화와 고기술 체화로 중국산 제품과 차별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중국의 산업정책 변화로 새롭게 형성될 수입 수요에 상응하는 맞춤형 공급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