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차산업혁명 설문조사. 사진=뉴시스

[파이낸셜투데이=김남홍 기자] 우리나라 기업들의 4차산업혁명 관련한 대응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곧 출범하는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통한 범국가적 대응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0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지난달 18일부터 21일까지 4일간 기업연구소를 보유한 기업 424개사를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업 이해와 대응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밝혔다.

기업이 바라보는 4차산업혁명의 성격과 관련해 응답기업의 44.6%가 ‘디지털기반시설을 활용한 제조업/서비스업 혁신(스마트팩토리 등)’을 말했다. 다음으로 모든 사물을 상호 연결하고 지능화하는 사물인터넷(22.9%), 디지털 역량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O2O(14.4%), 인공지능(6.1%) 등의 순이었다.

응답기업의 82%가 4차산업혁명과 현재 사업간 관련성에 대해서 보통 이상의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72.6%의 기업이 현재 경영상에서 보통 이상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상당수의 기업이 4차산업혁명에 따른 변화를 체감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하지만 사업과 관련성이 있다고 응답한 82%의 기업도 4차산업혁명에 대한 준비는 아직 미진하다는 응답이다.

현재 사업분야가 4차산업혁명과 관련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 중 22.3%의 기업만이 적극적으로 4차산업혁명을 준비를 하고 있으며, 구체적 사업계획을 수립 중인 기업은 6.6%에 불과했다. 또한 기술적 가능성 탐색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기업은 35.7%, 사업화 계획이 없는 기업은 21.6%, 일부사업을 추진 중인 기업은 15.7%로 집계됐다.

기업 규모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의 24.4%가 4차산업혁명 관련 일부 사업을 진척시키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은 14.4%만이 관련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인력 확보도 미흡했다. 응답기업 중 전문인력을 일정수준 이상 확보하고 있다는 기업은 13.3%로 나타났으며, 전혀 확보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13.1%를 기록했다.

김성우 협회 상임이사는 “세계 각국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4차산업혁명의 성패는 기업의 능동적인 참여에 달려있는 만큼, 새롭게 출범하는 4차 산업혁명위원회는 산업계 중심으로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지원에 중점을 둘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