④비트코인외 이더리움·리플·라이트코인 등 알트코인 850여개 거래

가상화폐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온라인 거래수단 일종인 가상화폐는 높은 보안성과 편의성을 바탕으로 기존 실물 화폐를 대체할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최근 한달 사이 그 가치가 널뛰기하듯 요동치고 있다.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이며, 투자로서 가치는 있는지 등 가상화폐에 대해 알아본다. <편집자 주>

[파이낸셜투데이=이일호 기자] 가상화폐란 이름이 국내에 알려지기 전부터 가상화폐는 우리 생활 가까이에 있었다. 과거 ‘싸이월드(Cyworld)’를 즐기던 세대라면 ‘미니홈피’를 꾸미기 위해 가상화폐를 한번쯤 구매해봤을 것이다. 바로 ‘도토리’다. 오늘날 카카오톡 메신저에서 이모티콘 등 상품을 구입할 때 쓰는 ‘초코’ 또한 가상화폐다.

하지만 이런 사이버머니는 오늘날 부르는 가상화폐와 다른 범주에 속한다. 도토리와 초코 모두 각각 그 화폐를 만든 싸이월드와 카카오톡에서만 쓸 수 있도록 사용 범주가 제한돼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가상화폐라 부르는 돈은 거래처가 있는 전 세계 어디서든 쓸 수 있다.

▲ 사진=픽사베이

◆최초의 암호화 가상화폐 비트코인

지금과 같은 형태의 암호화 가상화폐는 2009년 처음 만들어졌다. 신원 미상의 인물 사토시 나카모토가 실물 없이 인터넷을 통해 주고 받을 수 있는 화폐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바로 비트코인이다. 사토시 나카모토의 정체는 호주 컴퓨터 공학자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로 지난해 밝혀졌다.

▲ 비트코인 개발자로 밝혀진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 사진=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 블로그

실물화폐는 돈을 관리하는 기구가 따로 있지만 비트코인은 고성능 컴퓨터만 있다면 누구나 만들 수 있다. 코인을 얻기 위해선 컴퓨터를 이용해 고도화된 암호를 풀어야 하는데 이를 광산업에 빗대 ‘채광’(Mining)이라 부른다.

최초 비트코인이 설계될 당시 그 총량을 2100만비트(BIT)에 수렴하도록 정해 놨고, 비트코인 채광량이 늘어날수록 암호는 점차 어려워진다. 여기에 4년마다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도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비트코인 생산에 많은 비용이 들 수밖에 없는 구조다.

처음 비트코인이 만들어졌을 땐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 효용성에 대해 인식하지 못했다. 당장 사용처가 전무했던 탓에 화폐로써의 역할을 전혀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비트코인 가격은 출시 2년이 지난 2011년에 와서야 1비트(Bit)당 1달러를 넘어섰다.

비트코인 가치가 하도 낮아서 생긴 사건도 있다. 2010년 5월 미국 플로리다 주 잭슨빌에 사는 ‘Iaszlo’라는 닉네임의 비트코인 포럼 회원은 포럼 홈페이지에 라지사이즈 피자 2판을 주문하는데 1만비트를 지불하겠다는 글을 올렸다.

1만비트는 당시 시세로 약 41달러(한화 약 6만5000원)였고, 글을 올린 지 4일이 지난 22일 Iaszlo는 거래에 성공해 피자를 수령했다고 알렸다. 최초의 비트코인 거래로 알려진 이 사건을 기념해 비트코인 포럼 이용자들은 ‘비트코인 피자데이’를 만들었다. 당시 1만비트에 구입한 피자 2판 가격은 7년이 지난 오늘날 2500만달러(약 280억원)가 됐다.

국내에 처음 비트코인 거래처가 생긴 것은 2013년 12월로 인천 남동구 파리바게트 인천시청역점며, 오늘날 가상화폐 지도 ‘코인맵(Coinmap.org)’를 통해 확인되는 국내 비트코인 거래처는 총 71곳이다. 아직은 국내에서 비트코인의 화폐 가치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더리움, 비트코인의 자리를 넘보다

지금까지 비트코인에서 파생된 ‘알트 코인’(대안 가상화폐·Alternative Cryptocurrency)은 총 850여개에 달한다. 이 가운데 비트코인의 아성을 가장 크게 위협하고 있는 화폐는 이더리움(Ethereum)이다.

2015년 7월 첫 모습을 드러낸 이더리움은 전체 가상화폐 시가총액 2위(205억달러, 한화 약 23조원)이며 가상화폐시장에서 23.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비트코인 45.0%).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에 ‘계약’ 기술을 더한 가상화폐다. 집을 사고 팔거나 돈을 빌려주고 갚는 등 일상생활에서 흔히 벌어지는 계약 행위를 블록체인 형태로 보관하도록 만들어졌다. 계약서를 작성하고 유지하는데 드는 수수료는 이더리움으로 결제 가능하다.

이더리움을 이용한 계약은 종이서류가 필요 없고 안전하며 모든 형태의 계약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 또한 갖추고 있어 비트코인보다 뛰어나다는 평을 얻고 있다.

국내에서도 삼성SDS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사업에 이더리움을 채택함에 따라 국내·외 대형 그룹들의 참여가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더리움 기술을 적용한 솔루션과 제품 등이 곧바로 글로벌 기업 삼성전자의 가전제품에 상용화될 가능성이 커보인다.

유니온 스퀘어 벤처 공동창업자 프레드 윌슨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말엔 이더리움의 시가총액이 비트코인을 웃돌 것”이라며 이더리움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암호화화폐 펀드사 폴리체인캐피탈의 올라프 칼슨 최고경영자도 이더리움을 둘러싼 생태계가 빠르게 성장하는 점 등을 미뤄 “내년 말까지 이더리움 가치가 비트코인을 웃돌 것”이라 전망했다.

▲ 가상화폐 시장 점유율 그래프 (2013.5~2017.6). 사진 캡쳐=코인마켓캡 홈페이지

◆리플·라이트코인·NEM… 가상화폐 후발주자들

이밖에 해외 거래에 특화된 가상화폐 리플(Ripple)과 비트코인보다 거래가 4배 빠른 라이트코인(Lightcoin), NEM(New Economic Movement) 등 다양한 가상화폐가 존재한다.

P2P파일공유 프로그램 ‘eDonkey’를 제작한 제드 맥칼랩이 2012년 출시한 리플은 해외 송금에 걸리는 시간을 비약적으로 줄인 것이 장점이다. 비트코인이 해외 송금에 10~15분 정도 걸리는 반면 리플은 세계 어디든 10초 안에 송금 가능하다.

또 다른 실물 화폐나 다른 가상화폐와도 결제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예를 들어 1리플코인을 지불하면 온라인상에 달러나 유로, 엔, 비트코인 등 다양한 통화로 된 상품을 구입 가능하다.

리플은 그 가능성을 인정받아 2015년 초 구글벤처스 등으로부터 3000만달러(약 323억원) 투자를 유치했다. 또한 미국과 독일 내 몇몇 은행에서도 리플 결제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2011년 출시된 라이트코인은 구글 전 직원이던 찰스 리가 만들었다. 10분 단위로 갱신되는 비트코인 블록에 비해 라이트코인 블록은 매 2분30초마다 갱신돼 그만큼 거래 속도가 빠르다는 강점이 있다. 또한 채굴 방법도 비트코인보다 간편해 일반 컴퓨터로도 채굴 가능하다.

2015년 3월 만들어진 NEM은 블록체인이 갖는 근본적 결점인 작업증명방식(POW·Proof of Work)을 해소한 가상화폐다. POW방식은 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뤄졌음을 증명하기 위해 모든 블록을 확인해야 했고, 그만큼 전력 소모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NEM은 중요도증명방식(POI·Proof of Importance)을 채택했다. POI방식은 NEM을 사용하는 사람이 그 공동체 내에서 화폐를 얼마나 갖고 있으며 얼마나 자주 거래를 하는지 등에 따라 중요도를 부여해 자동 증명하는 방식이다. 최근 일본을 중심으로 NEM의 수요가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역사가 짧아 그 안정성이 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상태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