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양 사무소를 찾은 고객들. 사진=뉴시스

[파이낸셜투데이=최민정] 대선 이후 문재인 정부가 기존 부동산 정책 기조를 이어가기로 하면서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이 사라지자 집값이 상승하고 있다.

수도권 내 주택 수요가 여전하고 저금리가 이어지면서 시중 자금이 주택 시장에 몰려 단기간 집값이 상승하고 있는 것.

하지만 문재인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라 시장이 조정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26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20% 상승하는 등 상승폭이 확대됐다. 강북권역은 0.12% 오르는 데 그친 반면 강남권역은 0.26%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값은 지난 1월부터 18주째 연속 상승하고 있다. 주간 매매가 상승률은 대선 이후 0.03%로 상승률이 소폭 커진데 이어 이번주엔 이보다 0.02%포인트 오름 폭이 커졌따.

실제 지난달 9억8000만원에 실제 거래됐던 서울 송파구 잠실동 '엘스' 전용 59㎡는 이달 초 10억1000만원에 계약됐으나 최근엔 10억5000만원에 팔렸다.

청약 시장도 과열 조짐이 보이고 있다. 새 정부 들어 처음 진행된 서울 아파트 분양에서 최고 106대1의 청약 경쟁률 기록이 나왔다

SK건설이 신길뉴타운 5구역을 재개발해 공급한 '보라매 SK뷰'는 일반분양 527가구 모집에 1만4589명이 몰려 평균 27.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용 70㎡에서 2가구 모집에 212명이 청약접수해 10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서울시의 분양권 거래도 지난 1일부터 24일까지 총 887건의 분양권 거래가 이뤄져 하루 평균 37건을 기록했다. 이는 2007년 집계 시작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이처럼 집값이 상승하고 있는 이유는 대선으로 인해 국정이 안정되면서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과 한동안 저금리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겹치면서다.

또 시장에서는 당분간 정부가 적극적인 규제 정책 등을 내놓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기존에 움츠러들었던 수요자들이 시장에 뛰어들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다만 수도권과 세종, 부산 등 일부 지역의 집값이 오르면서 전반적으로 시장이 달아오른 것처럼 보이지만 전국적으로 보면 안정세에 접어들었다는 전망도 있다.

특히 최근 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가 가계 대출 규제를 강화할 뜻을 내비치면서 하반기부터는 이러한 일부 지역의 강세도 지속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 후보자는 지난 25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부동산 대출 기준을 더 까다롭게, 엄밀하게 들여다보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빚으로 빚을 갚는 나쁜 빚 사슬은 한번은 끊어줘야 한다”며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종합 대책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DTI(총부채상환비율)·LTV(담보인정비율) 대신에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제시한 바가 있다”며 부동산 대출을 줄일 뜻을 내비쳤다.

문 대통령도 지난 25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가계부채 증가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김진표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위원장 역시 금융위원회의 기존 가계부채 관리 방식에 의구심을 보이고 있어 금융권에서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의 전면 도입이 2019년에서 내년 초로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아직 부동산 정책을 담당하는 국토교통부의 장관 내정이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고, 초과이익환수제로 인해 강남 재건축 단지가 사업을 서두르면서 당분간 서울 집값은 크게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또 문재인 정부가 적폐청산·외교·안보 등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할 현안들이 산재해 있어 부동산 정책이 본격화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강남이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적용을 피하기 위해 재건축에 속도를 내면서 집값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이로 인해 당분간 가격이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