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청노조 블랙리스트 현대중공업 국정조사 추진. 사진=뉴시스

[파이낸셜투데이=김남홍] 기업들이 올 임금 및 단체협상에 돌입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결과가 향후 5년간의 가늠자가 될 수 있다는 인식아래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상대적으로 노조 친화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올 임단협은 노조측 주장이 강하게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서다. 특히 강성 노조의 잦은 불법 파업을 재계는 강하게 우려하고 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선거 유세기간 동안 청년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강성노조를 타파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전체 3% 밖에 되지 않는 노조를 비판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이 때문에 기업 현장에서는 올해 임단협을 둘러싼 회사 측과 노동조합 간 팽팽한 줄다리기가 예상된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22일 재계에 따르면 기업들 올해 노조의 요구를 100% 수용할 경우 향후 5년 동안 임단협에서 주도권을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반면 노동계 측에서는 문 정권에서 자신들의 입장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키 위해 공세를 펴겠다는 분위기가 강하다.

이같은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분야는 자동차 업계다. 올해 임단협에서 최대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동차 업계에서는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지엠 등이 각사 노조와 교섭을 시작했거나 진행할 예정이다.

각 업체들은 노조측의 무리한 요구로 협상이 자칫 파행으로 흐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은채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는 모습이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기본급 5만4883원 인상 ▲성과급 전년도 순이익의 30% 지급 ▲4차 산업혁명 및 자동차산업발전에 따른 고용보장 합의서 체결 등을 요구하고 있다.

기아차 노조는 올해 ▲기본급 15만4883원 인상 ▲성과급 지난해 영업이익의 30% 지급 ▲상여금 통상임금 적용 요구 등을 주장하고 있다. 한국지엠 노조는 사측에 ▲기본급 15만4883원 인상 ▲성과급 통상임금의 500% 지급 등을 제안한 상황이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지난해 임단협 과정에서 노조의 파업으로 각각 14만대, 10만대의 생산차질을 빚은 바 있어 올해 임단협은 원만하게 이끌어가겠다는 입장아래 협상에 적극 나서고 있다. 다만 노조의 무리한 요구에 대해서는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알려진 상태다.

조선업계에서의 노사간 임단협도 난항을 겪을 것으로 관측된다. 대표적 기업인 현대중공업 노사는 1년이 넘도록 임단협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서로간 대치를 지속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지난해 5월 임단협 상견례를 시작으로 1년 넘게 90여차례에 걸쳐 교섭을 거듭했으나 구조조정 문제로 갈등을 빚어 현재까지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금속노조 정기임금인상 요구액 15만4883원 ▲호봉승급분 적용시기 1월1일 변경 ▲자율관리수당 통상임금 30시간 지급 ▲연차별 임금격차 호봉승급분(2만3000원) 조정 등을 요구하고 있는 중이다.

이에 대해 사측은 지난해 임단협부터 마무리 돼야 한다는 입장으로 맞서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글로벌 조선 업황이 좋지 않고 최근 대우조선해양 사태를 겪으면서 국내 조선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경우 회사가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항공업계에서는 대한항공과 조종사노조와의 임금협상이 어떻게 마무리 될 지 여부가 최대 화두다. 대한항공과 조종사 노사는 2015년과 2016년 임금협상을 놓고 답보상태에 빠져있다.

양측은 물밑 교섭을 통해 이견을 좁힌다는 계획이지만 이규남 조종사노조 위원장의 연임 문제 등이 겹쳐 합의점을 도출하지는 못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올해 임단협에서는 강성노조들의 불법 파업이 잇따를 수 있다”며 “정부가 노동계를 지지하고 있는 만큼 어떻게 해야 할 지 난감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경기 상황을 고려해 노사가 원만한 합의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며 “올해 임단협이 향후 5년 동안 노정관계, 노사관계에 있어 가늠자가 될 수 있다. 파업으로 인해 생산 차질 등을 빚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하면 안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