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 어르신들이 모여 쉬고 있다. 사진=뉴시스

[파이낸셜투데이=김남홍 기자] 10년 동안 가계의 소득 증가율보다 보건 관련 지출 비율이 더 크게 늘었다. 반대로 보통 자녀들에게 들어가는 교육비 증가폭은 소득 증가분을 밑돌았다.

정부는 급속한 고령화 영향으로 보고 있다.

4일 통계청 가계 동향에 따르면 올 2분기 기준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0만6412원으로 10년 전인 2006년 2분기(296만5551원)보다 45.2% 늘었다.

경상소득 중 이전소득(24만6111원→44만7004원, 81.6%)이 가장 큰 폭으로 뛰었고 ▲근로소득(52.5%) ▲사업소득(20.3%) ▲재산소득(9.3%) 순이었다.

지출 측면에서 가계 씀씀이를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2006년 11만6528원이던 보건 지출은 2016년 17만4962원으로 50.1% 증가했다. 이 항목에 대한 지출 증가분이 전체 소득 증가분(45.2%)을 넘어선 것이다. 고령화로 인해 보건의료 분야 지출이 증가세를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2015년 고령자통계에 따르면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9.1%에서 2010년 11.0%, 2015년 13.1%로 빠른 속도로 높아지는 추세다.

앞으로 이 비율은 ▲2020년 15.7% ▲2030년 24.3% ▲2040년 32.3% ▲2050년 37.4% ▲2060년 40.1%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돼 가계의 보건·의료 관련 지출 비용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통상 자녀들에게 지출되는 교육비는 17만4329원에서 22만9644원으로 31.7% 증가한 데 그쳐 소득 증가분을 하회했다. 0~5세 전면 무상보육 도입으로 교육 복지제도가 확대되고 있는 것도 하나의 원인이지만 사회가 늙어갈수록 노후 대비를 위한 소비 지출의 증가가 교육비 증가분보다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증가폭이 가장 큰 항목은 가정용품·가사서비스다. 6만4913원에서 10만4110원으로 늘어 60.3%나 뛰었다.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가사도우미를 고용하는 가정이 늘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주거·수도·광열(45.1%)과 오락·문화(44.0%)는 소득 증가분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한편 같은기간 처분가능소득은 244만6296원에서 351만8624원으로 43.8% 증가했고 ▲세금 ▲이자비용 ▲사회보험 등의 비소비지출은 51.7%(51만9256원→78만7788원) 늘었다. 개인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돈보다 세금과 준조세 성격의 지출이 더 늘었다는 뜻이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