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투데이=부광우 기자] 수출입은행이 자체 수익을 확충해 자립 경영하겠다고 선언했다.

정부의 예산으로 자본금을 확충하는 수은이 스스로 돈을 벌어 경영하겠다고 발표한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이는 기획재정부와 추가 출자를 논의하기 앞서 스스로 쇄신안을 마련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수은은 노사합동 공동선언문을 통해 ‘경영혁신대책 상설특별(TF)팀’을 구성해 리스크 관리와 내부역량 강화 등을 통해 스스로 경영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발표했다.

경영진의 연봉을 5% 삭감하고 모든 직원들의 2016년 인상된 임금을 반납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건설·플랜트 및 조선업 등 위기를 맞은 수출주력산업의 금융지원보다 산업관리자로 역할을 수행하면서 역할을 전환하겠다는 내용도 담겨있다.

수은은 그동안 설립 목적에 맞춰 관련분야 산업을 지원해왔다. 대우조선해양에 대해서는 산업은행과 함께 4조2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고 성동조선은 단독으로 3000억원을 제공한 뒤 추가 수혈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이 수은의 충당금은 쌓였고 BIS비율이 9%까지 떨어졌다. BIS비율은 은행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다. 자기자본을 위험 가중 자산으로 나눠서 산출한다. 국제결제은행은 1992년부터 BIS 8%이상을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1998년 외환위기 당시 BIS비율이 8% 이하인 은행의 퇴출 기준선이기도 했다.

BIS비율을 높이는 방법은 돈을 갚지 못할 것 같은 대출을 줄이면 된다. 하지만 수은의 경우 국책은행으로 수출기업이 구하기 어려운 자금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 은행이 꺼리는 일을 하다 보니 BIS비율이 높기 어려운 구조다. 그래서 수은은 정부로부터 출자를 받는다. 자본금을 높여야 BIS비율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덕훈 수은 행장은 “10년 동안 자산이 빠르게 증가한 반면 자본은 그렇지 못했다”며 “수은이 주로 지원했던 전략 산업들이 심각한 상황이라 증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행장은 기획재정부 국고국장과 정부가 보유한 한전 주식을 수은에 넘겨주는 방식의 현물출자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