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투데이=부광우 기자] 경기 침체와 전세난이 겹치면서 저축은행, 상호금융사의 고금리 신용대출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돈 빌리는 사람 대부분이 시중은행을 이용하지 못하거나 담보가 없는 저소득·저신용계층인 만큼, 제2금융권 신용대출 급증은 가계부채 중에서도 가장 위험한 뇌관으로 봐야한다는 지적이 높다.

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중 비은행예금기관이 취급한 가계 신용대출이 전분기보다 5조원 증가했다. 상대적으로 자금수요가 크지 않은 2분기에 비은행예금기관의 가계 신용대출이 5조원이나 늘어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이는 지난 5월 말부터 메르스 여파로 경기가 급속히 얼어붙으면서 가계의 자금사정이 악화된 결과로 풀이된다.

경기 침체와 소비부진으로 임시직 일자리가 크게 줄면서 생계비 마련이 어려워진 저소득가구가 저축은행 등을 중심으로 소액 신용대출을 크게 늘린 데다 개인사업자대출로는 부족해 신용대출을 받은 자영업자들도 증가했다. 여기에 전세값 급등으로 월세로 밀려나는 가구가 늘어난 점도 신용대출 급등에 한 몫 한 것으로 보인다.

김진성 KB금융지주경연구소 연구원은 “주로 저소득·저자산에 월세를 사는 가구에서 일반 신용대출과 카드론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올 2분기 말 기준으로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60%다. 주택담보대출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일반은행과는 정반대의 양상이다.

문제는 제2금융권 신용대출이 고금리 변동금리로 일반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보다 금리 인상 충격에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차주가 제1금융권을 이용하지 못하는 저신용계층인데다 담보도 적당치 않은 저소득층이 대부분일 가능성이 높아서다. 이 때문에 경기 침체에 원리금 상환 부담까지 커지면 주택담보대출보다 빠른 속도로 부실화될 위험이 높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팀장은 “정부에서 관리할 수 있다고 보는 주택담보대출은 전체 가계부채 중 50%도 되지 않는다”며 “진짜 뇌관은 담보 없는 신용대출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시중금리 상승 시 변동금리 체계인 신용대출의 위험성이 더 크다”며 “제2금융권 가계부채 데이터를 소득 계층과 목적으로 분류해 위기 상황을 미리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