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투데이=최민정 기자] 미국 정부는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암살을 다룬 코미디 영화 ‘인터뷰’를 제작한 소니 픽처스를 상대로 한 해킹 및 상영 예정 극장에 대한 테러 위협은 “심각한 국가안보 사안”이라고 지난 18일(현지시간) 밝혔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해킹 사건에 대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배후가 북한인지 확인할 위치에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공격은 악의를 가진 정교한 집단에 의해 자행된 파괴 행위 사례로, 누구의 책임이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매우 심각한 국가안보 현안으로 여긴다”며 “고위 외교·안보·정보 및 군 당국자들과 가능한 대응 방안을 놓고 매일 회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 측이 해킹 당사자라거나 배후 조종을 했다는 의혹에는 “법무부와 연방수사국(FBI)의 조사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이를 확인할 위치에 있지 않다”고 부연했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국가안보 담당자들은 이에 응당한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보면서도 그런 사이버 공격을 감행한 자들의 의도가 종종 상대의 대응을 불러 일으키려는 것이라는 점도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들(해킹 주체)은 우리가 어떤 식으로든 대응하면 해커 집단 사이에서나 국제무대에서 자기들의 입지가 커지는 이점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젠 사키 국무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백악관과 같은 입장을 반복하며 북한 배후설에는 “조사가 진행 중”이라는 답변을 되풀이했다.

그러나 미국 언론들은 정부 소식통의 발언을 인용해 이번 해킹 공격이 특정 정부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북한이 그 배후에 있다는 결론을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내렸다고 보도했다.

CNN 방송 등은 FBI가 이르면 이날 북한을 해킹 책임자로 지목하는 수사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로이터 통신은 워싱턴DC의 안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북한 소행이라는 게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전했다.

이번 해킹과 영화 ‘인터뷰’ 상영 취소가 북한으로서는 전례 없는 승리일 뿐 아니라 사이버 전쟁 수행 능력을 과시했다는 것이다.

에드 로이스(공화·캘리포니아) 하원 외교위원장도 이번 사건의 배후로 북한을 기정사실화하면서 북한에 대한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 전문가들은 그러나 오바마 행정부가 동원할 수 있는 옵션으로 사이버 보복 공격이나 경제·금융 제재 등이 거론되고 있음에도, 어떤 대응 방안도 고립된 북한에는 제한적 효과만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라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이 워싱턴DC 백악관을 방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전날에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쿠바 아바나를 방문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한 바 있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아울러 오바마 대통령이 러시아를 추가로 제재하고 우크라이나에 군사 지원하는 내용의 법안에 서명했지만, 당장 러시아를 새로 제재할 계획은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