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정진성 기자

조양호 전 한진그룹 회장의 타계 이후 시작된 한진家의 경영권 분쟁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이명희 정석기업 고문, 조현민 한진칼 전무와 손을 맞잡은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호텔·레저 사업 전면 개편, 이사회 독립성 강화 방안 등 경영 개선안을 제시한 데 대해, KCGI·반도건설 등과 연합한 조현아 전 부사장 측이 “급조 대책”이라 비난하며 나선 것이다.

조원태 회장 측이 내놓은 경영 개선안은 송현동 부지 매각, 왕산레저개발 등 비수익 사업 정리와 함께 이사회의 투명·독립성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겉만 보면 그럴듯하다. 특히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직을 분리하고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는 것은 이사회의 투명성을 강화할 것으로 보이기에 ‘캐스팅 보트’를 쥐고 있는 국민연금과 기관투자자의 시선을 끌기에 충분한 것이다.

거버넌스위원회를 신설해 이 역시 전원 사외이사로 채운다는 점도 큰 결정 중 하나다. 기존 후보추천위 위원인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이사 사장은 사임하고 신임 위원으로 김동재 사외이사가 임명됐다. 김동재 사외이사는 거버넌스위원회 위원장직도 맡을 예정이다.

독립성을 부각하기 위해 사외이사를 전진 배치한 것인데, 문제는 독립성과 투명성이 강화가 될 지에 대한 의문이 드는 것이다.

여러 기업에서 사외이사는 대주주의 독단경영과 전횡을 막는 역할을 맡아왔다. 하지만 한진그룹의 사외이사들은 그간 오너家의 일탈을 견제하지 못해, 지속적으로 논란을 빚었다. 이번 조 회장의 쇄신안에 대해 또다시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들 위원의 면면이 ‘이사회 독립성’을 강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정진수 사외이사를 포함, 안용석, 임채민 사외이사는 모두 ‘땅콩 회항’ 사건 당시 조현아 전 부사장의 변호를 맡았던 법무법인과 같은 소속이다.

정진수 사외이사는 법무법인 화우, 안용석·임채민 사외이사는 법무법인 광장 소속으로 조현아 전 부사장의 집행유예 판결을 이끌어냈다. 정진수 사외이사는 해당 판결 2년 뒤인 2017년 대한항공의 사외이사로 임명됐다.

신설된 거버넌스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김동재 사외이사도 마찬가지다. 김동재 사외이사가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경영전문가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사외이사의 역할인 ‘견제’를 제대로 할 수 있을지에 의문이 드는 것이다,

김동재 사외이사는 지난해 진행된 대한항공 이사회에서 거의 반대표를 던진 적이 없는 데다가, 땅콩회항 사태 이후 조현아 전 부사장이 경영에 복귀하려 할 때도 반대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즉, 조원태 회장이 제시한 사외이사 인물들 모두가 오너家의 독단경영과 전횡을 막는 것보다는 쉬쉬하며 넘어가는데 급급했던 인물들이다. 결국 이번 ‘독립성 강화 방안’은 친분이 있는 사외이사들을 내세운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판을 지울 수 없다.

또한 이번 안건들 모두가 이미 지난해 초 추진의사를 밝혔던 내용이라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KCGI와 조현아 전 부사장 측은 이점을 꼬집어 “오로지 기존 경영권을 사수하기 위해 실질적인 내용 없이 과거 대책을 개선안으로 내놓으며 주주들을 호도하는 행위는, 현 이사회가 특정 대주주를 위한 거수기에 불과하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지난해 2월 발표한 ‘비전 2023’에는 송현동 부지매각·사외이사 독립성 강화·지배구조 투명성 강화를 위한 조직 설치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다. 심지어 송현동 부지와 왕산마리나 처분은 지난해 반대 측인 KCGI가 촉구했던 부분이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 또한 지난해 11월 시행되기 시작했다.

정치든 재계든 가장 중요한 것이 ‘명분’인 것은 맞다. 아무리 능력이 좋더라도 명분이 부족하면 주주들의 호응을 얻지 못하는 것이 재계인 것이다. 더군다나 한진家의 경우 ‘뺑소니’, ‘땅콩 회항’, ‘물컵 갑질’ 등으로 경영권에 대한 명분이 크게 사라진 상태다.

경영적 측면에서도 사상 최악의 실적을 경험하고 있기에 그 명분은 더 부족하다. 현재 조원태 회장의 ‘쇄신안’은 그저 명분 만들기에 불과한 것이다. 그는 실적 부진의 책임이 자신의 경영에 있음에도 재무구조 개선을 내세우고 있다.

물론 조현아 전 부사장도 전문경영인 체제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지만, 지금까지 갑질을 일삼아왔다는 측면에서는 할 말이 없다. 경영 일선에서 손을 떼며 외부 전문경영인을 내세워 투명하고 독립적인 경영을 한다고 발표했으나, 이미 조현아 전 부사장은 자신의 잘못으로 ‘명분을 잃은 채’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인물이다.

다만 그동안 한진家의 오너 경영을 줄곧 비판해왔던 KCGI가 있다는 점에서 그 명분이 살아나는 것뿐이다. 조현아 전 부사장과 손을 잡아 KCGI의 그 명분도 색이 바랬지만 오너家가 아닌 3자 연합이라는 점은 주주들에게 기대감을 충분히 심어 줄 수 있다.

3월 주주총회까지는 불과 한달 만을 남겨두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한진家의 경영권 다툼은 여전하다. 아니 되려 악화됐다고 볼 수 있겠다. 어찌됐든 주주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양측 중 하나를 선택해야한다. 과연 이 ‘진흙탕 싸움’에서 더 나은 쪽이 어디인지는 의문이지만 말이다.

파이낸셜투데이 정진성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