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보현업, 육체적·정신적 스트레스 강도 높아
“기상예보 정확도 높이기 위한 예보관 처우개선 필요”

표=이정미 의원실

기상청 직원의 절반 이상이 예보 업무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육체적·정신적 스트레스 강도가 높다는 것을 이유로 꼽았다.

이정미 정의당 의원이 기상청이 제출한 ‘예보관 보직관리체계 도입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예보 현업근무를 희망하지 않는(의향이 없는) 직원이 195명(57%)으로 희망직원 147명(43%)보다 14%(48명) 높았다.

현재 기상청의 예보 현업업무는 1개조 7명으로 총 4개조를 운영하고 있으며, 예보분석 지원인력(분석팀) 13명을 합해 총 41명이다. 예보 현업업무의 4개조는 12시간씩 교대근무를 하고 있고 ‘일근-일근-야근-야근-비번-휴무-휴무’의 순서로 근무하고 있다. 이틀은 낮 이틀은 밤에 4일 연속 근무에 육체적으로 매우 힘든 상황이다. 또한 예보가 틀릴 경우 비난을 받는 직책이기 때문에 정신적인 스트레스도 상당해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 설문조사에 따르면 예보현업 업무는 육체적(94%)과 정신적 스트레스(87%) 강도가 높다고 응답했고 ‘예보관 우대방안’이 필요하다고 300명(88%)이 응답했다.

기상 예보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관측자료의 정확성과 수치예측모델 그리고 예보관의 역량’이다. 관측자료는 관측지점을 촘촘하게 설계한다하더라도 부족하거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수치예측모델은 장기간 개선이 필요하여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자료해석능력을 갖추고 모델링 결과를 보완할 수 있는 경험 많고 역량을 가진 예보관의 역할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번 설문조사에 따르면 예보관이 최고의 판단을 내리는데 어려운 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 예보 현업근무를 희망하지 않는 이유로 야근에 대한 체력적 부담(42%)이 일과 삶의 균형 중시(19%), 예보관을 존중해주지 않는 조직문화(14%)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기상청이 발표한 ‘2018년 기상업무 국민만족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체감하는 기상예보 기대 충족도(기상예보 정확도 기대 수준 대비 체감 수준)는 일반국민 87.3%, 전문가 86.5%로 나타났다. 일반국민은 전년 대비 1.4%p 상승한 반면, 전문가는 2.3%p 하락해 일반국민의 기대 충족도가 전문가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상청 내부에서도 예보 현업업무는 다수가 전문성이 높은 업무로 인식(92%)하고 있으며, ‘일정기간의 예보경력’(35%)과 ‘예보업무에 대한 열정과 인품’(31%)이 전문 예보관의 중요한 자격 요건이라고 응답했다.

한편, 기상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예보현업에 근무를 희망한(의향이 있는) 직원은 ‘기상청의 핵심 업무이기 때문’(36%)이 가장 높았고, ‘예보업무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느끼는 것’(26%)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심층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예보관 업무를 중시하는 조직 분위기’가 우수한 예보관 유입 및 양성에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이에 대한 ‘예보관 보직관리 제도도입’이 필요하다고 290명(85%)이 응답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보직관리체계가 실제 운영되지 못한 이유는 ‘부서장의 기호에 따른 인사운영의 문제(34%)’ 및 ‘정원배정 등 제도적인 문제(’31%) 등으로 꼬집었다.

이 의원은 “기상청 예보관의 근무환경을 조속히 개선해야 한다”며 “예보관 현업 업무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교대근무주기를 늘리고, 근무인력을 확대해야한다”고 밝혔다. 또한 “몸과 마음의 스트레스가 높고 사기와 자존감이 저하되는 상황에서 예보관의 심리상담 등 지원방안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기상청의 예보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예보관 양성 시스템을 마련하고, 예보관의 근무환경과 처우개선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한소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