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김민희 기자

전통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의 추락이 계속되고 있다. 온라인 시장에 속수무책으로 고객을 빼앗기던 업계는 생존 전략을 찾기 위해 연일 애쓰는 모습이다. 온라인 시장이 성장하기 전에는 기대할 수 없었던 변화다.

업계에 따르면 대형마트 3사로 꼽히는 이마트와 롯데마트, 홈플러스의 매장 수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2012년 463개에서 지난해 43개가 사라졌다. 백화점 업계도 순탄치 않다. 롯데백화점은 인천점과 부평점을 매각, 신세계백화점은 인천점을 철수했다.

특히 이마트의 적자는 지난 2분기 업계의 가장 큰 이슈였다. 대형마트 업계 1위로 꼽히는 이마트가 299억원에 가까운 사상 첫 적자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제 대형마트 시장은 소멸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게 됐다.

반면 온라인 시장은 갈수록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쿠팡의 ‘로켓배송’이 가능한 상품은 2014년 5만8000여개에서 지난해 500만개를 넘어섰다. 대형마트의 취급상품은 5~8만 종이다. 가격, 배송, 취급상품 수 등에서 경쟁력을 갖춘 이커머스 업체들은 이제 오프라인 채널을 압도한다.

이를 두고 오프라인 유통업계는 최저임금 인상, 출점 규제, 의무휴업 등 정부 규제를 탓하기 바쁘다. 성장률은 계속해서 떨어지는데 정부가 나서서 ‘역차별’을 한다는 거다. 규제가 사라지면 대형마트가 살아날까? 정답은 ‘아니오’다. 이들의 위기는 누구의 탓도 아닌 자연스러운 시대의 흐름이다.

대형마트가 처음 생겼던 때를 생각해보자. ‘혁신’을 외치며 유통시장에 들어선 이들은 약 30년 가까이 유통가를 주름잡았다. 소비자는 동네 마트나 전통시장 대신 대형마트로 몰리기 시작했고, 대형마트는 경제 성장과 함께 수익을 독차지했다. 새롭게 뭔가를 시도하지 않아도 먹히던 때였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주말이면 가족과 함께 마트를 가던 모습은 이제 옛날이야기가 됐다. 반짝하고 말 것이라던 예상과 달리 온라인 쇼핑은 시장의 판도를 바꿨다. 

대형마트는 그제서야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 온라인 배송을 강화하거나 오프라인 체험형 마트를 속속 선보이고 있지만, 모두 신통찮은 모양새다. 일각에서는 “이커머스 따라잡기”라거나 “할 수 있는데 왜 지금껏 안했나”, “뒤늦은 전략으로 적자를 보면서 규제 탓 하는 것”라는 비판이 나오기도 한다.

달도 차면 기울기 마련이다. 소비자가 편리하고 이득이 되는 쪽으로 움직이는 것은 당연지사다. 이를 발견하고 변화하는 곳만이 살아남는다는 것 또한 어렵지 않은 명제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유통시장 강자가 이제는 바뀔 때도 됐다.

파이낸셜투데이 김민희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