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고점 대비 17%p 하락, 실수요자 매매전환 ‘소극적’

사진=연합뉴스

서울 집값이 최근 2~3년 사이 크게 오른 반면 전세시장은 안정세를 유지, 전세가율이 7년 전 수준으로 후퇴한 것으로 파악됐다.

3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달 말 기준 서울 평균 전세가율은 53.60%로 2012년 52.61% 수준에 근접했다. 고점을 형성한 2015년(70.92%)에 비하면 17.32%p 낮아졌다. 이는 지난해부터 서울 등 수도권 입주물량이 늘어나면서 전세가격 안정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서울 구별 전세가율은 지역에 따라 편차가 컸다. 지난해까지 서울 매매가격 상승을 이끌던 ▲강남4구(44.15%~50.28%) ▲마포(58.23%) ▲용산(47.35%) ▲성동(57.27%) 등 ‘마용성’을 중심으로 전세가율이 낮게 형성돼 있다. ▲중랑구(69.69%) ▲강북구(66.61%) ▲구로구(66.15%) ▲관악구(65.58%)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세가율을 나타냈다.

전세가격 수준은 일반적으로 매매시장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에 근접할수록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이 활발, 매매시장 상승폭을 확대하는 기폭제로 작용한다.

반면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의 절반 수준(전세가율 50~60%)에서 움직일 경우 실수요자는 내 집 마련에 소극적으로 변한다. 전세가율이 낮으면 낮을수록 매매전환에 투입되는 비용 부담은 상대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2015년에서 2017년 사이 70% 안팎의 높은 전세가율에 기대 실수요뿐만 아니라 전세 레버리지를 활용한 갭투자가 크게 늘어났던 것을 감안하면 전세가율 하락으로 실수요자의 매매전환 욕구가 줄어들고 투자수요도 유입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

윤지해 부동산114 리서치팀 수석연구원은 “최근 서울 강남권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바닥을 다졌다는 평가와 함께 집값이 반등에 나서는 분위기다”라며 “하지만 전세가율이 현재처럼 50%대로 낮아져 있는 상황에서는 매매가격이 과거처럼 상승폭을 확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사진=부동산114

파이낸셜투데이 배수람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