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2022년까지 8만가구 규모 공급 계획
물량확보 및 서울 내 수주경험 등 ‘두 마리 토끼’ 노려 속속 진출

사진=연합뉴스

전반적인 경기침체로 수주물량이 급감하자 중견 건설사들이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으로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안정적으로 물량을 확보해 수익이 보장되고 서울 내 시공 경험도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청년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2030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을 2016년부터 시행 중이다. 당초 3년간 5만가구 공급을 목표로 했으나 정부의 주거복지 로드맵과 맞물리면서 2022년까지 총 8만가구를 공급하기로 규모를 확대했다.

해당 사업은 서울시가 민간 사업자에 건물 용적률 완화 및 세금 감면 등 혜택을 지원하고 민간 사업자가 공공 및 민간임대주택을 지어 청년층에게 시세보다 저렴하게 우선 공급하는 정책이다. 특히 민간임대로 공급하는 청년주택의 경우 사업자는 8년 뒤 일반 분양으로 전환할 수 있다.

시에서 현재 진행 중인 사업은 총 91곳으로 이는 3만4000여가구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사업시행인가가 검토 중인 곳은 20곳, 해당 절차를 밟는 곳은 37곳이며 사업시행인가가 떨어진 사업지는 34곳이다.

도급순위 12·13위에 나란히 자리하고 있는 반도건설과 호반건설은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19일 반도건설은 도봉구 쌍문동 103-6(KT&G 부지) 일원에 들어설 ‘쌍문역 청년주택’ 시공사로 선정됐다. 지하 5층, 지상 17층, 1개동의 총 288가구 규모의 이곳 주택은 9월 착공에 들어간다. 공사비는 219억원 상당이 투입될 예정이다.

반도건설은 쌍문역 청년주택 사업을 기반으로 서울 주택시장 진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는 각오다. 반도건설 관계자는 “건설 경기 불황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 다각화의 일환으로 청년주택사업에 진출하게 됐다”며 “(자사의) 특화설계 및 품질을 바탕으로 서울 주택시장에서도 시공능력을 인증하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호반건설은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5월 은평구 ‘불광역 청년주택’ 수주권을 획득한 데 이어 서초구 ‘양재역 청년주택’ 사업계약도 잇달아 체결했다. 2017년 시공사로 선정된 ‘삼각지역 청년주택’ 사업을 포함하면 벌써 세 번째 수주다.

반도건설이 짓는 쌍문역 청년주택(위) 투시도와 호반건설이 짓는 양재역 청년주택 조감도. 사진=반도건설, 호반건설

이번에 시공사로 선정된 은평구 대조동 2-9 일원 불광역 청년주택은 지하 6층, 지상 28층의 4개동으로 이뤄진 998가구 규모 단지로 올 12월 착공 예정이다. 서초구 양재동 산 17-7 일원 양재역 청년주택은 지하 6층, 지상 19층, 1개동, 총 342가구 및 부대시설로 마련되며 하반기 첫 삽을 뜬다.

이들 두 곳 사업지에 투입되는 공사비는 총 1600억원에 이른다. 호반건설은 향후 역세권 청년주택 추가 수주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이어 진흥기업은 지난달 천호스테이션하우징과 강동구 성내동 87-1 일원 청년주택 신축공사 계약을 체결했다. 사업규모는 582억원에 이른다. 대보건설이 짓는 서대문구 충정로3가 일원 청년주택은 9월 입주자 모집 후 내년 1월 집들이한다.

업계에서는 이처럼 청년주택 사업에 뛰어드는 건설사의 움직임이 더 활발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당장 수익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건설사 입장에서는 분양전환 이후 주변 시세에 맞춰 임대료를 책정할 수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안정적인 수익을 낼 좋은 먹거리로 작용하는 셈이다. 업계 전반이 극심한 수주난에 시달리는 만큼 대형 건설사가 나설 가능성도 점쳐진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주택경기가 위축되면서 역세권 청년주택은 물론 가로주택정비사업, 소규모 재건축·재개발 사업장 등 사업 규모와 관계없이 건설사들이 수주에 적극적인 모습이다”며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 도심에 위치한다는 이점이 있다. 해당 시공능력을 바탕으로 다음 수주에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형 건설사들이 가세하면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는 만큼 중견 건설사들이 관련 사업에 발 빠르게 움직이려고 할 듯”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27일 서울시는 주거 및 편의시설을 결합한 역세권 활성화 추진 계획을 통해 ‘컴팩트 시티(Compact City)’ 조성에 나선다고 밝혔다.

시는 지하철·국철·경전철 등 역 승강장 경계로부터 반경 250m 이내 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육성 및 관리가 여전히 미흡하다고 판단, 해당 사업을 통해 주택뿐만 아니라 사무실, 상가, 주차장 등 지역 맞춤형 사업추진을 돕겠다는 목표다.

현재 서울 시내 역세권은 307곳, 총면적은 55㎢로 서울시 시가화 면적(370㎢)의 약 15%를 차지한다.

컴팩트 시티 조성을 위해 서울시는 용적률 인센티브를 적용, 민간 개발을 유도한다는 방침을 밝혀 업계의 움직임에도 탄력이 더해질 전망이다. 시는 용도지역을 변경, 용적률을 높여주고 증가한 용적률의 절반을 공공기여로 받아 지역 특성에 따라 필요한 시설을 만드는 방식을 제시했다.

파이낸셜투데이 배수람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