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부동산114

부동산114는 19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 그랜드블룸에서 ‘부동산 포럼 2019’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10년 후 대한민국 부동산’을 주제로 국내 주택·부동산 시장의 중장기 전망과 일본 사례를 통해 향후 직면할 현안들을 짚어보고 그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꾸며졌다.

이성용 부동산114 대표이사는 이날 “부동산114 창사 20주년을 기념해 열린 이번 포럼에서는 부동산 시장을 긴 안목에서 접근해 보고자 한다”며 “구조적인 변화 속에서 예상되는 문제점과 새로운 트렌드 등을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수욱 국토연구원 주택·토지연구본부장이 ‘주택시장 순환주기와 전망’을 주제로 발제를 맡았다. 이 본부장은 “전국 주택시장은 2019년 저점을 통과한 후 고점은 짧은 순환국면 가정 시 2021년과 2025년, 2029년에 걸쳐 발생하고 긴 순환국면 가정 시에는 2022년과 2033년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인구 감소와 저성장의 영향으로 주택 매매가격은 중장기적으로 하락 및 변동률 축소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노무라 야스요 일본 오사카 시립대 교수는 ‘일본의 인구구조 변화와 주거의 과제’를 주제로 발표를 이었다.

노무라 교수는 “일본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로 2012년 13.5% 수준이었던 빈집 비율이 2033년에는 30.4%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며 “인구 감소 속도가 빠른 지역에 대한 조기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본의 빈집 활용 및 도시 재생의 사례로 ‘상호지원형 지자체 추진 모델’을 소개했다.

이날 종합토론에서 손정락 KEB하나은행 박사는 국내 주택시장 중장기 이슈로 부채 관리의 문제가 첨차 부각될 것으로 판단했다.

손 박사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등 가계부채 관리수단이 정교화되면서 부동산 시장의 수요가 점차 약화될 수 있다”며 “부동산 중심 가계자산구조, 타국 대비 월등히 높은 자영업 비중 등을 감안할 때, 주택 매입부담을 완화하고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대출 및 상환능력 관리에 정책적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송인호 KDI 경제전략연구부장은 “올해 주택보급률이 10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향후 소멸위험지역은 지방을 중심으로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면서 “5대 광역시 인구는 이미 2016년 이후부터 감소하고 있어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과잉과 부동산 방치 및 공가의 문제가 향후 사회적 이슈로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송 부장에 따르면 현 시점에서 중요한 주택정책 방향은 신도시 개발이 아니라 구도심의 재생 및 활력화에 초점을 두고 거점도시 전문화를 통해 인구소멸 가능성을 방지하는 데에 주력할 해야 한다.

최자령 노무라종합연구소 서울 파트너는 “현재 주택시장을 좌우하는 주요 요인은 금융 및 부동산 규제 정책을 꼽을 수 있다. 앞으로는 4차 산업혁명 등 기술 발전이 부동산 시장 변화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인이 될 것이다”고 예상했다.

파이낸셜투데이 배수람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