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자회사 ‘우리은행’, 케이뱅크 최대주주
우리은행, “지분율만큼 자금 투입, 추후 상황 지켜볼 것”

사진=연합뉴스

올해 지주체제로 전환한 우리금융지주가 비은행 부문 강화에 전념하고 있는 가운데, 케이뱅크 자본확충 난항에 대한 여파가 우리금융에도 번질 전망이다. 우리금융의 자회사인 우리은행이 케이뱅크 지분 13.79%를 보유하고 있는 최대주주이기 때문이다.

우리금융은 지주 전환 3개월 만에 동양자산운용과 ABL자산운용 인수 계약을 체결했으며, 국제자산신탁을 인수하기 위한 MOU를 체결했다. 또한 우리금융은 웰투시인베스트먼트를 통해 아주캐피탈에 투자 중이며 향후 아주캐피탈과 그 자회사인 아주저축은행 인수를 진행할 예정이다.

우리금융은 지주 출범 1년간은 자산운용사 및 부동산신탁사, 저축은행 등 규모가 작은 M&A를 추진하며 규모가 큰 M&A는 내년 자본비율을 회복한 뒤 진행할 전망이다.

문제는 케이뱅크에 대한 KT ‘대주주 적격성 심사’가 중단되면서 자금 확보에 제동이 걸리게 됐다는 점이다.

올해부터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이 시행되면서 ICT기업은 인터넷은행 지분을 34%까지 보유할 수 있게 됐다. 이에 케이뱅크 지분 10%를 보유하고 있던 KT는 24%를 추가 확보해 최대주주가 되고자 했다. 케이뱅크는 유상증자를 통해 KT로부터 5920억원의 자금을 확보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최대주주가 되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적격성 심사가 KT의 담합혐의로 중단되면서 케이뱅크의 대규모 자금확충 계획도 틀어졌다.

사진=연합뉴스

케이뱅크는 현재 자본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절실한 상황이다. 출범 이후 2년 연속 적자행진을 보였으며 자본 규모도 4775억원으로 카카오뱅크의 1조3000억원에 한참 못 미친다. 특히 케이뱅크는 여러 차례 여신업무를 중단한 적 있으며 KT 대주주 적격성 심사 중단 이후에도 일부 대출상품 판매를 중단하기도 했다.

케이뱅크는 상품 리뉴얼을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지만 업계에서는 여신업무를 이어나가기 위한 자본이 충분치 않은 것으로 풀이했다. 이러한 케이뱅크 자본부실 논란에 우리은행을 비롯한 NH투자증권, 한화생명 등 주요주주들도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주요주주들은 케이뱅크 인가 당시 금융당국에 ‘유사시 유동성 공급 확약서’를 제출한 바 있다. 케이뱅크의 자본 유동성이 저하될 경우 우리은행을 비롯한 주요주주들은 확약서에 근거해 자본 유동성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

특히 주요주주들 중 우리은행의 입장이 유독 난처해졌다. NH투자증권과 한화생명 등은 비금융주력자이기 때문에 케이뱅크 지분을 10% 이상 보유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우리은행은 증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은행 역시 추가로 지분을 확보하는 것은 힘들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은행이 케이뱅크에 대한 지분을 추가로 확보해 15%를 초과하게 되면 케이뱅크는 우리금융 자회사로 편입된다. 이는 비은행을 키우겠다는 우리금융 전략과 어긋난다. 특히 M&A를 추진하고 있는 우리금융 입장에서 케이뱅크에 자금을 투입하는 것은 부담스럽게 작용할 수 있다.

국제자산신탁을 인수하기 위한 구체적인 금액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동양자산운용과 ABL자산운용 인수에 투입된 금액은 총 1700억원 가령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내년에는 아주캐피탈 인수 여부를 결정해야 하고 향후 추진할 대규모 M&A를 준비해야 되기 때문에 우리금융은 자금을 충분히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최대주주로서 케이뱅크의 자본부실 문제를 지켜만 볼 수도 없다. 향후 우리금융이 추진한 M&A에 대해 금융당국의 인허가를 받을 때, 케이뱅크의 문제가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뾰족한 수가 없는 가운데, 우리은행과 KT, NH투자증권은 브릿지 형태로 412억원의 유상증자에 참여한다. 이는 케이뱅크가 발행할 수 있는 마지막 전환우선주를 통한 증자다. 케이뱅크는 일단 전환우선주를 발행해 일시적으로 자금을 확보한 뒤, 새로운 주주를 찾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KT를 대신해 약 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할 수 있는 기업이 나타날지는 미지수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투자자 입장이기 때문에 케이뱅크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내놓기는 어렵다”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현재 M&A뿐만 아니라 케이뱅크 자본확충에 대한 자금 투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단 케이뱅크에 지분율만큼 자본을 투입하고 추후 상황을 지켜보고자 한다”라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임정희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