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시장 안정 및 아파트 매매가격 안정세 원인으로 작용
2016년 고점 찍은 후 올해 1억4천만원까지 지속 하락

사진=연합뉴스

전국 연립·다세대 매매 거래가격이 2016년 정점을 기록한 이후 하향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13일 부동산정보 서비스 직방이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전국 연립·다세대 거래 중간가격(중위가격)은 올해 1억4000만원으로 나타났다. 2016년 1억6500만원으로 고점을 찍은 후 지속 하락했다.

수도권과 지방은 상이한 가격 움직임을 보였다. 수도권은 올들어 가격이 소폭 상승하며 1억5800만원을 기록했으나 지방은 1억원 이하로 하락한 9800만원으로 조사됐다.

연립·다세대 매매 실거래가 중간가격을 분기별로 세분화하면 수도권도 지난해 4분기부터 하락 전환했다. 수도권은 작년 상반기 약세를 보이던 가격 수준이 하반기 아파트 시장 가격 급등 영향으로 거래가격 상승이 나타났으나 올해 들어서 하락 흐름을 보인다.

지방은 지난해 4분기 9915만원까지 중간가격이 상승했다가 올해 하향세를 보이면서 2분기 8900만원으로 조정됐다.

연립·다세대 신축과 구축 주택의 가격 차이는 전국적으로 더 벌어지는 추세다. 이는 지방의 가격 격차 확대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사진=직방

수도권은 2016년 49.2%였으나 지난해 47.7%로 소폭 줄었다. 올해는 차이가 확대되고 있으나 수도권은 구축 주택의 하락이 원인이 되고 있다. 지방에서는 신축 주택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이 차이를 확대시키고 있다.

2010년 이후 가장 많은 매매거래 사례가 공개된 5개 면적의 중간가격은 지난해까지 꾸준히 상승했으나 올 들어 모두 소폭 하락했다. 특히 전용 84㎡의 경우 지난해 2억7000만원에서 올해 2억2100만원으로 줄었다.

2015년 전후 전국적인 아파트 전세가격 급등으로 연립·다세대의 주택 가격이 상승 추세가 이어졌다.

전세공급 부족의 영향으로 건설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연립·다세대 공급이 늘어나고 올해 아파트 매매시장이 안정세를 찾으면서 연립·다세대 거래가격도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직방에 따르면 전세시장이 안정된 흐름이 장기간 유지되고 있고 공급 증가의 영향도 나타나고 있어 연립·다세대의 매매가격 안정세와 하향은 당분간 유지될 전망이다.

다만 향후 서울 도심의 공급 확대를 위한 재개발 활성화 등의 규제 완화로 정부 정책이 전환될 경우 개발 차익 목적의 투자 수요 유입으로 가격 불안이 나타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립·다세대 단기적인 가격 불안은 정책 요인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도별 연립·다세대 실거래 매매 중간가격은 올해 서울이 2억2000만원으로 가장 높고 제주가 2억1600원으로 서울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작년 대비 올해 가격 상승이 가장 높은 지역은 광주로 3350만원 올랐다.

파이낸셜투데이 배수람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