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 생산량 2년 연속 감소…불법수출 및 도로 통행세로 자금 확보
“외화벌이 쏠쏠한 관광가이드·호텔리어 인기”

사진=연합뉴스

대북제재로 북한의 석탄 수출 금지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석탄공업대학 학생들의 불안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산업 침체로 내부 일거리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평안남도 평성시에 위치한 북한 석탄공업대학은 석탄 채굴과 가공, 공업 경영, 기계생산, 열공학 등 석탄 기술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이다. 해당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은 통상 석탄공학 기술자를 비롯해 교육자, 탄광 관리자, 무역회사 등에서 일하게 된다.

석탄공업대는 북한 내 주요 교육기관으로 손꼽힌다. 김일성 주석 이후 북한은 석탄에너지 개발 및 수출을 통해 국가 경제를 이끌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7년 8월 대북제재 강화로 석탄 수출이 전면금지되자 석탄공업대 학생들의 고민도 함께 늘어났다.

이들은 “대북제재 이후 미래에 대한 지도를 제대로 해주는 교수가 없다. 동급생과 토론을 해도 수출길이 막힌 이후 답이 없다고 생각하니 답답하다”고 북한전문매체 데일리엔케이를 통해 전했다.

실제 북한의 대중(對中) 석탄 수출액은 2017년 4억 달러(약 4500억원) 수준으로 곤두박질쳤다. 한국무역협회(KITA) 조사 결과 2011년 11억2685만 달러(약 1조2620억원)로 2016년까지 매년 11억 달러 안팎을 수출해온 것과 비교해 약 1/3수준에 그친 것이다.

북한 당국은 석탄 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화력발전 및 액화·가스화 등으로 내수활용에 나서지만 여의치 않다. 북한 석탄 생산량 역시 해마다 급감하고 있다. 북한자원연구소에 따르면 석탄 생산량은 ▲2016년 3500만톤 ▲2017년 2000만톤 ▲2018년 1500만톤으로 2년 연속 줄어들었다.

대북제재의 직격탄을 맞은 곳은 단연 석탄 수출 무역회사다. 수출길이 막힌 이들은 중개인을 통해 헐값에 석탄을 팔아넘기는 불법 수출을 자행하고 있다. 러시아나 중국산으로 둔갑한 북한 석탄은 원가의 절반 가격으로 베트남과 중국, 한국 등에 판매된다.

지난해 8월 윤한홍 자유한국당 의원이 한국 남동발전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북한산 석탄 구입 가격은 톤당 90~93달러다. 이는 톤당 148달러에 달하는 러시아산에 비해 40%가량 저렴한 가격이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중개인을 통해 거래되는 북한 석탄 가격이 지난달 원가의 20% 수준까지 떨어졌다고 전했다.

석탄을 채굴하는 탄광기업소의 사정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평안남도 순천탄광연합기업소는 지난 4월 이후 탄광으로 들어오는 모든 차량을 대상으로 도로 통행세를 징수하고 있다. 대북제재 장기화에 대비해 기업소 운영자금 마련에 나선 것이다.

통상 보위대초소는 탄광시설 보호 및 출입차량 관리를 담당했으나 최근에는 통행세 징수가 주된 업무가 됐다. RFA는 순천탄광연합기업소 보위대초소가 탄광 도로 이용 시 내화 500원~1000원가량의 통행세를 걷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김정수 통일교육원 교수는 “사회주의 북한의 특성상 모든 학생들이 졸업 후 취직에 성공한다. 석탄공업대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회사 내 일거리가 없어 출근하고도 일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며 “ 때문에 회사에 이름만 올려놓고 장사를 하거나 다른 일을 통해 생계를 꾸려가는 이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사정 때문인지 북한 학생들 사이에서 석탄공업대학 인기는 예전만 못하다. 전문가에 따르면 이들은 제재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외화벌이는 쏠쏠한 관광 관련 직종을 선호한다.

실제 북한은 외화벌이의 수단으로 패키지 관광상품을 구성하는 등 관광객 유치에 힘 쏟고 있다. 중국 관광통계국의 비공식 추정치에 따르면 북한 방문 중국인 관광객은 2018년 하반기 기준 약 120만명에 달했다. 이는 2017년 같은 기간 대비 약 50% 늘어난 수치다.

특히 지난해 방북 관광객이 사용한 금액은 약 3억6000만 달러(약 4240억 8000만원)로, 같은 기간 대중 수출 금액(2억1314만 달러, 약 2510억 7892만원)보다 많은 것으로 추산됐다.

김정수 교수는 “요즘은 북한 내에서 관광 관련 학과가 인기가 높다. 대북제재로 대다수 산업의 수출길이 막혀 있기 때문이다”며 “공식 집계는 발표된 바 없지만 제재 이후 방북 중국인 관광객이 늘어난 것으로 알고 있다. 때문에 구직자들은 관광 가이드나 접경지역 호텔리어 등의 직종을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민희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