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만에 부활한 종합검사, 소비자·건전성·내부통제·영향력 등 평가지표 확정
건전성 약화·민원 증가로 신한·KB·우리 ‘사정권’

진옥동(왼쪽) 신한은행장과 허인 KB국민은행장.사진=신한은행, 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이 4년 만에 종합검사를 부활시키면서 주요 시중은행들이 긴장하고 있다. 신한은행과 신한금융지주가 첫 타자로 지명될 가능성이 높다고 점쳐지는 가운데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도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2019년도 유인부합적 종합검사’ 세부지표를 확정했다. 유인부합적 종합검사는 금융소비자 보호 수준, 재무건전성, 내부통제·지배구조 등을 감안해 평가가 미흡한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주요 리스크 등을 점검하는 검사다.

이번에 마련된 평가지표는 ▲금융소비자 보호 ▲건전성 ▲내부통제·지배구조 ▲시장 영향력 등 4가지로 구성됐다. 은행의 경우 각각 30점, 30점, 30점, 10점의 배점이 있다.

평가지표에는 은행, 보험, 증권, 여전, 저축은행, 자산운용사 등 총 6개 권역에서 민원건수 및 민원증감률, 미스터리쇼핑 결과, 준법 감시·감사조직 인력 규모, 업무보고서 지·수정 제출 건수 등이 공통으로 포함됐다.

이에 4개 시중은행이 종합검사의 사정권 안에 놓였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해 급등한 민원이 원인이 됐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신한·국민·우리·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민원건수는 총 2475건으로 전년(1707건) 대비 44.99% 증가했다.

민원 건수와 증감율은 우리은행이 가장 높았다. 지난해 민원은 1215건으로 전년 대비 224.87% 급등했다. 지난해 5월 전산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교체하면서 민원 건수가 폭등했기 때문이다.

우리은행을 제외한 3개 은행은 전년대비 민원이 소폭 감소했다. 국민이 509건으로 우리의 뒤를 이었고 신한(386건), 하나(365건) 순이었다.

금감원이 지난해 10월 실시한 주가연계증권(ELS)·파생결합증권(DLS) 판매에 대한 미스터리 쇼핑 결과도 이번 종합검사 대상 선정에 반영된다. 당시 은행의 경우 12개 검사대상 중 국민은행은 양호 등급을, 우리은행은 미흡, 신한과 하나는 저조 등급을 받았다.

특히 이번 평가 지표에서 건전성 부문도 적지 않은 배점을 받았다. 건전성 항목은 예대율, 대손충당금 적립비율, 보통주자본비율 등을 포함했다.

예대율의 경우 국민은행이 98%로 가장 높았고 하나은행 96%, 신한은행 96%, 우리은행 95% 순이었다. 예대율은 원화예수금에 대한 원화대출금의 비율로 100%를 넘기지 않아야 한다.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에서는 하나은행을 제외하고 전부 100%를 넘겼다. 신한은행이 141.79%로 가장 높았고 국민(122.31%), 우리(119.41%) 순이었다. 하나은행은 91.52%를 기록했다.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은 부실여신에 대비한 대손충당금 적립 정도를 나타내며 100%를 넘겨야 건전하다고 판단된다.

보통주자본비율에서는 국민 14.33%, 하나 13.79%, 신한 12.89%, 우리 11.15%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내부통제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준법감시, 감사조직의 인력규모를 선정 기준에 적용한다. 이 부문에서는 신한은행이 가장 인력이 적었다. 준법감시와 감사조직 인력이 각각 68명, 66명에 그쳤다.

준법감시 인력은 우리은행이 90명으로 가장 많았고 감사조직 인력은 국민은행이 104명으로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일각에서는 신한·국민은행을 유력한 종합검사 후보로 보고 있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이 지난해 경영실태평가를 받아 금감원의 종합검사를 받은 지 오래된 은행이 타깃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앞서 신한은행은 신한금융과 함께 2017년 4월 경영실태평가를 받았고 국민은행은 KB금융지주와 함께 같은 해 9월 평가를 받았다.

다만 금감원은 종합검사 실시 예정 금융회사 명단은 다른 검사와 동일하게 대외 공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확정된 평가지표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고 종합검사 대상을 선정한다. 이후 검사 사전준비 등을 통해 종합검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파이낸셜투데이 김민아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