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희 기자

중소벤처기업부와 서울시가 추진하는 ‘제로페이’가 시범운영에 돌입한 지 약 두 달이 흘렀다. 제로페이는 소상공인과 소비자 모두 혜택을 보는 서비스지만 아쉬운 홍보 탓에 실사용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제로페이는 지난해 12월 20일부터 서울과 부산, 창원 등 일부 지역에서 시범 운영되는 모바일 결제서비스다. 제로페이 앱을 통해 가맹점 QR코드를 스캔한 뒤, 비밀번호와 금액을 입력하면 결제가 완료된다. 소비자 계좌에서 소상공인 계좌로 구매금액이 직접 이체되는 방식이다.

제로페이를 사용하면 소상공인은 카드결제 수수료에서 최대 1.4%포인트 혜택을 볼 수 있다. 수수료를 0%대까지 줄였기 때문이다.

소비자는 연말 소득공제 40% 혜택을 받는다.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공제율이 각각 15%, 30%인 점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다. 이외에도 공용주차장·문화시설 등 각종 공공시설 요금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제로페이 출범 당시 박원순 서울 시장은 가맹점 신청 독려를 위해 신촌·을지로 시장 일대를 방문했다. 부산시는 제로페이 서포터즈를 통한 집중 홍보를, 창원시는 전통시장과 상점가 주요 상권에서 현장 홍보에 나섰다.

그러나 대대적 홍보를 벌인 것에 비해 성과는 미미한 수준이다. 서울시 제로페이 가맹점 증가현황 및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2일까지 단 5만8354곳이 가맹 신청을 해왔다. 서울시 전체 66만 자영업자의 9% 수준에 불과하다.

이는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거의 없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상인들 대부분은 제로페이를 인지하고 있으나, 소비자 수요가 낮아 가맹 신청을 망설이는 모습이다.

실제 서울시 곳곳에서는 ‘소상공인 돕고, 소득공제 받고’ 라는 제로페이 슬로건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정작 제로페이를 사용해야할 소비자들은 와 닿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어떤 혜택을 제공하는지 알지 못하니 가입률도 낮을 수밖에 없다. 이미 신용카드와 각종 페이 등이 익숙한 상황에서 굳이 결제방식을 바꿔야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직접 제로페이를 사용해볼 수 있는 체험서비스가 부족했던 탓도 있다.

이에 소상공인들은 지난 14일 청와대에서 열린 ‘자영업·소상공인과의 대화’을 통해 제로페이 홍보 방식의 변화를 요청했다. 소비자 편익을 기반으로 한 홍보가 이뤄져야 제로페이 고객이 늘지 않겠냐는 것이다. 정확한 지적이다. 이제는 소비자를 끌어올 차례다.

다음 달이면 제로페이는 정식서비스에 돌입한다. 그간 높은 카드수수료에 시달려온 소상공인들에게 제로페이는 단비 같은 소식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현실적 유인책을 마련하지 못하면 순식간에 사라질지도 모른다. 제로페이 관련 혜택을 소비자에게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필요가 있다. 좋은 제도를 내놓고도 몰라서 못 쓰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파이낸셜투데이 김민희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