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만에 완전히 바꿔…흡연 폐해 경각심 높인 그림·문구 12종
복지부 “경고그림 효과 높이기 위해 표기 면적 확대 검토”

사진=연합뉴스

보건복지부는 23일부터 출고되는 모든 담뱃갑에 새로운 ‘발암’ 사진을 삽입한다고 밝혔다.

궐련형 전자담배도 예외는 아니다. 필립모리스 ‘히츠’, KT&G ‘믹스(MIIX)’, 브리티쉬 아메리칸 타바코 ‘네오’ 등 모든 궐련형 전자담배 스틱에도 암 유발을 상징하는 경고그림이 표시된다.

정부는 2016년 12월 23일 경고그림 표시 제도를 시행하면서 2년마다 그림을 교체하기로 했다. 동일한 경고그림으로 인해 경고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새 경고그림은 암으로 뒤덮인 폐 사진을 비롯한 실제 환자의 병변과 적출 장기, 수술 후 사진을 이용하는 등 표현 수위가 한층 높아졌다.

간접흡연 최종 고해상. 사진=보건복지부

궐련담배용 경고그림은 총 10종이다. 폐암과 후두암, 구강암, 심장질환, 뇌졸중, 간접흡연, 임산부 흡연, 성기능장애, 조기 사망, 치아변색 등 10개의 흡연 폐해 주제를 담고 있다.

전자담배용 경고그림의 수위도 세졌다. 액상형 전자담배(니코틴 용액 사용)에는 니코틴 중독 가능성을 상징하는 쇠사슬이 감긴 목 사진이 부착되고, 궐련형 전자담배에는 암 유발 가능성을 표현하는 암 덩어리 사진이 쓰인다.

경고그림뿐 아니라 문구 역시 보다 간결하고 명확하게 흡연의 위험을 알리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기존의 경고 문구가 흡연이 각종 질병을 초래한다는 사실 전달에 치중했다면, 새로운 경고 문구는 질병 발생이나 사망 위험 증가 정도를 구체적인 수치로 제시하고, 흡연의 손실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예를 들어 “임신 중 흡연은 유산과 기형아 출산의 원인이 됩니다”라는 기존 문구는 “흡연하면 기형아를 출산할 수 있습니다”로, “폐암의 원인 흡연, 그래도 피우시겠습니까?”는 “폐암 위험 최대 26배, 피우시겠습니까?”로 교체됐다.

전자담배용에는 ‘니코틴에 중독, 발암물질에 노출’이라는 경고문구가 공통으로 들어간다.

경고그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가장 효과적인 금연정책 중 하나로 2001년 캐나다를 시작으로 현재 세계 105국에서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담뱃갑 앞뒷면에는 면적의 30% 이상이 되는 경고그림과 20% 이상이 되는 경고문구를 표기해야 하고, 경고 효과 유지를 위해 2년마다 그림을 교체해야 한다.

경고그림은 강력한 금연정책 수단이다. 실제로 효과가 크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보면, 2017년 19세 이상 흡연율(평생 담배 5갑 이상 피웠고 현재 담배를 피움)은 22.3%로 전년보다 1.6%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1998년 이래 최저치다.

국내 흡연율은 1998년 35.1%에서 점점 하락해 2014년 24.2%로 떨어졌고, 2015년 1월 담뱃값 2000원 인상의 영향으로 그해 22.6%까지 하락했다. 이어 2016년 23.9%로 반등했다가 지난해 다시 떨어진 것이다.

성인 남성 흡연율은 지난해보다 2.6% 하락한 38.1%로 역시 역대 최저치다.

복지부는 흡연 경고그림과 금연구역 확대 등의 비가격정책이 지난해 흡연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기존에 출고된 담배의 유통을 고려하면 새로운 경고그림이 부착된 담배는 내년 1월쯤 시중에서 본격적으로 판매될 것으로 보인다.

정영기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장은 “경고그림 전면 교체로 담배 폐해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금연과 흡연 예방 효과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경고그림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그림 면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6월 한국필립모리스가 서울행정법원에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궐련형 전자담배 유해성 분석결과’ 발표 근거가 되는 분석방법과 실험 데이터 등에 대한 정보공개(정보공개 거부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했었으나 아직 아무런 결과도 도출되지 않았다.

파이낸셜투데이 제갈민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