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류·만물상 등 간편 주문 가능한 쇼핑몰 증가
일반 주민 이용률 저조, 400여개 장마당 보편적 생계 수단

북한 온라인쇼핑몰. 사진=연합뉴스

최근 북한 상류층을 중심으로 간편 주문과 무료배송이 가능한 온라인쇼핑이 성행하고 있다.

운영 중인 온라인쇼핑몰은 약 30여 개. 다만 일부 상류층을 제외한 주민 대다수는 여전히 장마당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터넷 접속이 제한된 북한에서는 자체 인트라넷 서비스 ‘광명’을 기반으로 온라인쇼핑몰이 운영된다. 2015년 등장한 전자상점 ‘옥류’·‘만물상’을 시작으로 지난해 ‘은파산’이 공식 오픈했다.

전문가들은 온라인 시장의 확대와 북한 경기 회복이 두드러진 2015년을 기점으로 온라인쇼핑몰이 등장한 것으로 추측한다.

조선중앙통신은 “인민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근로자의 생산 열의를 추동한다”고 전했다. 해당 서비스를 통해 간편하게 생필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평양 주민들은 옥류·만물상 등을 통해 식료품·전자제품·보건의료품부터 옥류관 평양냉면 등의 음식까지 주문할 수 있다.

결제 역시 간편하다. 이들 온라인쇼핑몰은 북한의 선불전자결제시스템 ‘날개’를 기반으로 한 금융결제시스템을 이용한다. 이는 남한의 체크카드와 비슷한 형태로 일정 금액을 충전 후 결제하는 방식이다.

온라인쇼핑몰 성행은 북한의 국산화 정책과도 맞아떨어진다. 생산자들의 가격 경쟁을 부추겨 내수시장 활성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쇼핑몰에 입점한 대표적 기업은 창전해맞이식당·해당화관·금성식료공장 등이다.

이들 쇼핑몰은 ‘인민 생활 향상’을 표방하며 탄생했지만 일부 상류층만 접근할 수 있어 실제 대다수 북한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평가다.

온라인 주문 서비스를 도입한 평양제1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은 일부 대도시에만 존재한다. 아울러 스마트폰 보급률이 낮은 지방 소도시 거주자는 온라인쇼핑몰을 이용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여전히 장마당을 통한 물물교환 형태의 소비가 주를 이룬다. 화폐거래가 아닌 가내 생산품을 교환해 생계를 꾸려가는 것이다.

지난 9월 코트라(KORTA)는 ‘북한 스마트폰 시장 동향’을 통해 북한의 스마트폰 이용자가 약 5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인구대비 15% 이상 수준이다. 하지만 이용자의 70% 이상이 평양 지역에 거주해 온라인쇼핑몰 이용 계층과 지역의 한계성을 드러냈다.

한 탈북자는 “온라인쇼핑몰을 이용한다는 것은 들어보지도 못했다. 아마 최근 생겨나 평양에 사는 일부 상류층들이 이용하는 게 아닐까 싶다”며 “(장마당을 통해) 곡물이나 집에서 만든 술 등을 필요한 제품과 맞바꾸는 물물교환 형태가 일반적이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임강택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해당 서비스가 운영된 지 불과 2~3년밖에 되지 않았다. 그 과정에서 전통적 장마당과 온라인쇼핑몰 이용 계층의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흐름을 부정적으로만 볼 순 없다. 온라인쇼핑몰은 북한의 소비 형태를 다양화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며 “북한 시장의 확대 및 주민 생활 수준이 향상되는 가운데 향후 계층을 아우르며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민희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