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인터넷은행 인가 방안 발표 코앞 “은행업, 경쟁력 강화”
적자 지속·유상증자 부진·건전성 악화, 삼중고 빠진 케뱅

2016년 12월 14일 심성훈 케이뱅크 은행장이 은행업 본인가 인증서를 받은 후 포부를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3의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이 가시화되면서 국내 1호 인터넷은행인 케이뱅크의 입지가 불안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일 은행업 경쟁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외부 전문가 11인으로 구성된 금융산업 경쟁도평가위원회는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은행업 경쟁도를 평가했다.

위원회는 은행업의 경쟁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결론 내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상위 6개 은행의 규모가 하위 은행들과 큰 격차를 유지하면서 서로 비슷해지는 상태로 안정화되고 있어 향후 경쟁 유인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위원회는 시중·지방은행에 대한 신규 인가보다는 혁신을 선도하거나 기존 은행 시스템을 보완할 수 있는 소형·전문화된 은행에 대한 신규 인가가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이를 바탕으로 금융위는 인터넷은행 신규 은행 추진 방안을 이달 중 발표할 예정이다.

지난 9월 국회 본회의에서 은산분리 규제 완화를 핵심으로 한 ‘인터넷은행 설립 및 운영에 관한 특례법’이 통과되고 금융위가 올해 안에 인터넷은행 인가 방안을 검토하고 내년 4~5월쯤 예비인가를 내준다는 계획이 가시화된 것이다.

일각에서는 제3 인터넷은행 출범에 대한 반발이 제기됐다. 참여연대는 4일 논평을 내고 “금융당국이 빛바랜 환상에 기대 신규 인가 계획을 발표할 것이 아니라 현재 인터넷은행의 경영 성과를 냉철하게 되돌아보고 케이뱅크의 부실화 가능성을 심각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당국이 ▲자본 적정성 확보 방안 ▲여신 건전성 제고 방안 등 경영개선계획의 징구와 같은 선제적인 금융감독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참여연대는 케이뱅크의 3분기 경영 공시를 근거로 들며 부실 가능성이 높다고 비판했다.

실제 케이뱅크는 설립 이후 줄곧 적자를 기록해왔다. 올해 3분기 순이자이익 244억원, 순손실 58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3분기에는 순이자이익 76억원, 순손실 601억원으로 매출에 해당하는 순이자이익은 늘었지만 적자 역시 지속된 것이다.

대출이 중단되기도 했다. 케이뱅크는 지난달 22일 홈페이지를 통해 대출상품 판매 한도가 소진돼 상품 판매를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지난 6월 이후 15번째다.

케이뱅크는 매달 대출상품별로 취급 한도를 설정하고 한도가 소진되면 판매를 중단하는 ‘쿼터제’를 운영하고 있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케이뱅크는 자본 적정성 지표인 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업계 최저 수준이다. 금융감독원이 9월 말 기준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 BIS기준 자본비율을 분석한 결과 케이뱅크는 11.32%로 가장 낮았다. 전년 동기(25.19%)와 비교하면 반토막이 났다.

연체율도 올해 1분기 0.17%, 2분기 0.44%, 3분기 0.64%로 급증하면서 건전성도 악화됐다.

이에 케이뱅크는 낮은 BIS 비율을 끌어올리려 자본 확충을 위한 유상증자를 여러 차례 진행했지만 번번이 어려움을 겪었다.

지난해 1차 유상증자(1500억원)에 이어 지난 8월 2차 유상증자(1500억원)을 추진했지만 일부 주주들이 불참하면서 자본확충은 당초 목표치를 밑도는 300억원을 모으는데 그쳤다. 케이뱅크 이사회는 지난 10월에도 12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의한 상태다.

반면 경쟁자인 카카오뱅크는 비교적 순항하고 있다. 3분기 영업수익은 2767억원으로 전년 동기(173억원)보다 크게 늘었고 순손실액은 전년 동기 669억원에서 159억원으로 급감했다. 연체율은 1분기 0.03%, 2분기 0.06%, 3분기 0.13%로 케이뱅크에 비해 증가폭이 적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제3의 인터넷은행 등장은 업계 입장에서 환영한다”며 “아직까지 개념 자체가 생소하다는 인식이 커 여러 형태의 인터넷은행이 나타나면 관심도 높아지고 시너지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특별법 발효 이후 대규모 유상증자를 시행하기 위해 주주들과 협의하고 있다”며 “자본 확충이 마무리되면 좀 더 빠른 성장을 보여 안정화 단계로 접어들 것이다”고 덧붙였다.

파이낸셜투데이 김민아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