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자산운용 ‘국내 최초’ 중국 현지 운용사 자격증 획득
한화, 라이센스 허가 대기…“국내 운용사 허가 기대감↑”

사진=연합뉴스

중국 사모펀드 시장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21일 국내 최초로 중국 현지에서 사모펀드 운용사 자격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중국 법인인 ‘미래익재투자관리(상해)’는 중국증권투자기금협회(AMAC)에 외국자본 독자 사모펀드 운용사(PFM WROE)로 등록했다.

미래에셋은 중국 현지 기관 및 고액자산가들을 대상으로 중국 본토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를 판매하게 된다. 또 적격외국인기관투자가(QFII, RQFII) 자격을 가진 외국 금융회사를 비롯해 선강통과 후강통 투자자들에게 투자자문을 진행할 수 있다. 선강통과 후강통은 해외 개인투자자가 중국 본토 증시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제도다.

인가 등록 1년 후 요건이 되면 중국의 보험, 은행 등 기관 일임 운용의 자격을 받을 수 있다. 외국자본 소유 지분의 법적 제한이 사라지는 3년 뒤에는 독자적 공모 자산운용회사 전환 설립을 신청할 수 있다.

미래에셋 관계자는 “중국이 미국에 이어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시장이라 해외에 진출하는 입장에서는 당연히 눈여겨볼 수밖에 없는 시장이다”며 “인가까지 약 1년 정도 걸렸다”고 설명했다.

실제 중국 자산관리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 내 사모펀드 관리 규모는 지난해 1월 8조4000억위안에서 같은 해 12월 11조1000억위안으로 1년 만에 32.1% 증가했다.

컨설팅 업체인 케이시 쿼크(Casey Quirk)에 따르면 중국 자산관리 시장은 개인 자산의 가파른 증가와 은퇴 시스템 수립을 위한 정부의 지원 확대 등에 힘입어 2016년 2조8000억달러에서 2030년 17조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자산관리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글로벌 업체들은 중국 진출에 관심을 보였지만 외국인 지분한도 49% 제한이 걸림돌로 작용했다.

하지만 2016년 6월 중국 정부가 100% 외국 법인의 사모펀드 운용사 설립을 허용하면서 외국자본에 펀드 시장을 개방하자 분위기는 반전됐다.

외국 법인은 사모펀드 운용사 설립을 위해 중국 당국으로부터 법인 자격을 부여받는 외자독자회사(WFOE) 승인을 받고 중국증권투자기금업협회(AMAC)에 사모펀드 운용사(PFM)를 등록해야 한다.

같은 해 8월 스위스 UBS 에셋 매니지먼트(상해)를 시작으로 미국, 싱가포르, 홍콩, 영국, 이탈리아 등에 본사를 둔 자산운용사의 AMAC 등록이 이어졌다. 지난 21일 기준 미래에셋을 포함해 총 16개 금융회사가 인가를 받았다.

국내 운용사도 시장이 완화되자마자 중국 진출을 계획했다. 업계에 따르면 이번에 인가를 받은 미래에셋을 제외한 많은 자산운용사가 중국 펀드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한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한화자산운용과 한국투자신탁자산운용 등도 허가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한화자산운용은 중국 진출에 가장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2016년 9월 중국 톈진에 ‘한화투자관리유한공사’를 설립할 것을 발표했다. 국내 운용사 중 처음으로 중국에 지분을 100% 보유한 운용사 설립을 결정한 것이다.

한화자산운용은 2016년 중국 현지에 운용사를 설립하고 사모펀드 관리기관 등록을 마쳤다. 이후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에 사모펀드 운용사 설립 인가를 신청하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인가 취득은 좀처럼 진전되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한·중의 사드 갈등 여파로 인해 중 금융당국이 허가를 내주지 않는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미래에셋 관계자는 “회사 내부에서는 국내 운용사 중 자사가 해외 사업을 가장 적극적으로 하고 있고 성과도 좋아서 자격을 획득했다고 생각한다”며 “한한령이 이에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하기에는 조심스럽다”고 부인했다.

한화자산운용 관계자도 한한령이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답했다. 해당 관계자는 “미래에셋이 먼저 허가를 받은 것은 국내 자산운용사 중 중국 진출을 가장 먼저 해 이미 외자독자회사가 있었기 때문이다”며 “한화의 경우는 2016년에 새로 설립해 당연히 속도가 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금융당국이 자국 자본시장 필요에 의해 완급을 조절하는 것이라 언제 허가가 날 것이라고 속단하기는 어렵다”며 “다만 미래에셋이 허가를 받으면서 신청을 한 국내 운용사들이 인가받을 가능성이 과거보다 높아졌다고 본다”고 예측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민아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