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만개 건물 DB 기반 ‘3D 설계 기법’ 최적 품질 예측
20kg 5G 기지국에 상황 맞춤형 품질 자동 최적화 기술 도입

서울 명동에 설치된 5G 기지국. 사진=배수람 기자

국내 5G 서비스 개시가 9부 능선을 넘은 가운데 SK텔레콤이 5G 상용망을 처음 공개했다.

14일 SKT는 내달 1일 5G 전파 송출을 보름여 앞두고 서울 중구 명동에 설치된 5G 상용망 구축 현장을 기자간담회를 통해 소개했다. 해당 5G 상용망은 SKT가 서울·수도권·주요 광역시 거점에 구축하고 있는 5G 최초 지역 중 하나다.

초기 5G는 3.5GHz 주파수 대역을 활용한다. 이는 LTE 주파수 대비 직진성이 강하고 장애물 영향을 많이 받아 5G 장비 설치 높이·방향에 따라 품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교한 커버리지 설계가 필요하다.

SKT는 지난해 해당 주파수 대역 특성을 반영한 5G 3D 설계 솔루션 ‘5G T-EOS’를 자체 개발하고 이를 3D 맵을 통해 최적의 품질을 낼 수 있도록 실시간 분석한다고 전했다.

해당 솔루션은 약 1000만개 건물 데이터베이스, 산악 지역이 많은 한국 지형 특성, 10년간 트래픽 변화 등 빅데이터가 담겼다. 프로그램상 기지국 위치를 지정하면 주변 기지국과 연동해 현장에 직접 가보지 않아도 커버지리 빈틈이 어디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명동에 설치된 5G 기지국은 높이 약 1m, 폭 23cm, 무게 24kg이다. LTE 기지국은 안테나와 서버를 현장에 각각 설치해 최고 10㎡(약 3평) 정도 면적이 필요했으나 5G 기지국은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

작아진 5G 기지국을 건물 옥상, 철탑 외에 유휴 공간 구석구석에 설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SK텔레콤

5G 기지국 내부에 들어간 SKT 기술은 더 고도화됐다. 기존 LTE 기지국당 4개였던 안테나는 5G 기지국에 32개가 들어가 최고 8배 많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어 ▲전파를 특정 위치로 집중해 효율을 높이는 ‘빔포밍’ 기술과 ▲다수에게 데이터를 동시에 전달하는 ‘다중 사용자 MIMO(MU-MIMO)’ ▲이동하는 물체를 추적해 전파를 전달하는 ‘빔트래킹’ 기술도 탑재했다.

SKT ‘5G AI 네트워크’는 해당 기술들을 활용해 유동인구 사전예측, 상황에 맞는 통신 품질 자동 최적화 등을 진행한다. 트래픽 변동을 감지해 기지국 안테나 방향과 전파 송출 구역도 스스로 조정한다.

건물 내부 서비스 품질은 ‘5G 인빌딩 토탈 솔루션’으로 개선한다. SKT는 해당 솔루션을 이용해 건물 내부 중계 장비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용량을 LTE 대비 최대 16배까지 늘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동일한 공간에서 데이터 사용량이 증가해도 안정적인 품질 제공이 가능하다.

해당 솔루션을 활용하면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건물 내부 서비스 경계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김종렬 SKT ICT 인프라센터장은 “글로벌 통신사 대비 상용화 과정에서 여러 단계 앞서가고 있다”며 “발빠른 준비는 최적의 품질로 이어지는 만큼 상용화 전까지 5G 준비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배수람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