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부동산펀드 설정액 70조원 돌파 ‘매달 최대치’ 경신
해외투자 규모, 국내투자 추월…“리스크 관리 필요”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증시 변동성이 커지면서 부동산펀드로 자금이 몰렸지만 이에 대한 리스크 관리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동산 그림자 금융’에 대한 체계적 관리 필요성이 본격 부각된 것이다.

1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국내외 부동산펀드 설정액은 71조2670억원을 기록했다. 2015년 9월 말 33조4172억원를 기록한 이후 줄곧 상승세를 타면서 3년간 매달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처럼 유동성 자금이 부동산펀드로 몰리는 이유에 대해 미·중 무역분쟁 악화와 미국발 금리 상승 우려와 이로 인한 신흥국 경제 우려 등 악재로 공포심리가 확산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실제 지난 11일 미국 증시 급락으로 코스피와 코스닥이 맥없이 추락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98.94p(4.44%) 내린 2129.67로 지난해 4월 12일 이후 최저치를 보였다. 코스닥지수도 40.12p(5.37%) 급락한 707.38로 마감해 지난해 11월 7일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에 부동산펀드로 몰리는 자금에 투자자들의 이목이 쏠렸다.

부동산 설정액 증가율은 2015년(32조9947억원) 18%에서 2016년(45조6943억원) 30.78%, 지난해 30.88%로 매년 큰 폭으로 늘었다.

부동산펀드는 다른 펀드보다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지난해 부동산펀드 설정액 증가율은 주식형펀드(5.68%)와 채권형펀드(-8.31%)를 크게 따돌렸다.

수탁고도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장병완 민주평화당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부동산펀드 수탁고는 66조8000억원으로 2013년 24조3000억원을 기록한 이후 175%(42조5000억원) 급증했다.

해외투자 규모도 늘어났다. 장 의원에 따르면 부동산펀드 해외투자 규모는 343조3000억원으로 전체 수탁고의 절반 이상인 51.3%를 차지했다. 국내투자 규모인 32조5000억원(48.7)%을 추월한 것이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금리 상승과 미국 주식시장이 급락한 것의 영향으로 채권과 주식시장 상황이 안 좋기 때문에 투자할 수 있는 대체자산을 찾고 있고 부동산이 특히 인기가 좋다”며 “국내보다 물건이 많고 변동성이 떨어지는 선진국 오피스 빌딩 위주 부동산펀드 투자가 많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에 따른 리스크 관리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장 의원은 “최근 급증하고 있는 부동산펀드에 대해 장기투자상품(평균 5~7년)으로 펀드 만기에 부동산가치가 하락할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해외부동산의 경우 환율 급락에 따른 위험이 있어 리스크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펀드 운용 규모가 커지면서 자산운용사의 미흡한 관리 체계로 발생할 수 있는 투자자 피해에도 우려감도 드러냈다.

장 의원은 “펀드 운용 규모가 급증하고 있는 것에 비해 펀드 운용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는 현장 의견이 많았다”며 “자산운용사가 전문 인력을 배출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춰진 것도 아니라 관리 체계가 미흡해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금감원이 인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금융당국도 ‘부동산 그림자 금융’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주문했다.

지난달 열린 간부 회의에서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주택가격 상승 등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반적인 주택담보대출은 가계부채 종합대책으로 관리하고 있으나 자본시장 부문을 포함한 소위 ‘부동산 그림자 금융’은 상대적으로 관리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전 금융권 부동산 그림자 금융을 거시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부동산 그림자 금융’은 주택담보대출이 아닌 부동산펀드·신탁·유동화증권 등 기타 부동산 금융을 의미한다.

파이낸셜투데이 김민아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