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8월 국제수지’…상품수지 흑자 규모 112억4000만달러로 확대
서비스수지 적자 규모 축소 ‘출국자 수는 역대 2위, 입국자 수도 늘어’
금융계정, 72억8000만달러 순자산 증가…해외 주식시장 호조, 해외투자펀드 확대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수출 화물이 선적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올해 8월 84억4000만달러를 기록한 경상수지가 사상 최장 흑자 행진을 78개월로 늘렸다.

최정태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국제수지팀장은 “경상수지가 2012년 3월 이후 78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며 “상품, 서비스, 본원소득, 이전소득수지가 모두 전년 동월 대비 개선됐다”며 “세계 교역 증가세와 반도체 호조세가 지속됐고 주력 품목의 단가가 상승했다”고 밝혔다.

11일 한국은행의 ‘8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전년 동월 91억8000만달러에서 112억4000만달러로 확대됐다. 본원소득수지 흑자 규모는 이자수입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 2000만달러에서 5000만달러로 확대됐다.

서비스수지 적자 규모는 건설 및 지식재산권사용료 수지 개선 등으로 전년 동월 23억3000만달러에서 21억1000만달러로 축소됐다. 이전소득수지는 7억3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특히 여행수지는 중국인·일본인을 중심으로 입국자 수가 늘어나고 있지만 계절적 성수기 요인 등으로 출국자 수가 역대 2위의 높은 수준을 기록해 15억4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139만2000명을 기록한 입국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6개월 연속 증가해 여행수입이 14억달러, 252만 명을 기록한 출국자 수로 여행지급은 29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상품수지는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의 상품 수출입거래를 말하며 일반상품, 비화폐용 금(金) 및 중계무역순수출로 세분화된다. 서비스수지는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의 서비스거래 결과 발생한 수입과 지급을 계상하고 가공서비스, 운송, 여행, 건설 등 12개 항목으로 구성된다. 본원소득수지는 대외금융자산 및 부채와 관련된 배당, 이자 등의 투자소득과 근로소득인 급료·임금을 계상하고 이전소득수지는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대가 없이 이뤄진 무상원조, 증여성 송금 등 이전거래내역을 기록한다.

자본수지는 채권자에 의한 채무면제 등을 기록하는 자본 이전과 상표 등 마케팅자산의 취득과 처분 등을 기록하는 비생산‧비금융자산으로 구분된다.

한국은행은 “국제수지통계는 일정 기간 동안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발생한 경제적 거래를 체계적으로 기록한 통계로 국제통화기금(IMF)의 국제수지매뉴얼(BPM6)에 따라 작성된다”며 “국제수지는 무역과 외환정책을 비롯한 각종 경제정책 수립이나 경제분석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폭넓게 이용된다”고 말했다.

월별 경상수지(억달러, %). 자료=한국은행

금융계정은 72억8000만달러 순자산 증가로 집계됐다. 직접투자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55억7000만달러 증가했고 외국인 국내투자는 12억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71억7000만달러 증가해 2015년 9월 이후 36개월 연속 증가를 기록했고 외국인 국내투자는 56억8000만달러 증가해 6개월 연속 증가했다. 파생금융상품은 7억6000만달러 증가했다.

반면 기타투자는 자산이 7억5000만달러 감소했고 부채는 26억3000만달러, 준비자산은 12억4000만달러 감소했다.

해외주식투자는 미국, 일부 아시아(베트남 등) 국가의 주식시장 호조 등으로 해외투자펀드를 중심으로 확대됐고 해외채권투자는 보험사 등의 유럽 지역 장기채권 투자를 중심으로 확대됐다.

또한 외국인의 주식투자는 전기전자제품 제조업을 중심으로 증가했고 외국인의 채권투자는 여타 신흥국 대비 양호한 국가신용등급, 외환보유액 등으로 증가를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계정에 대해 한국은행은 “경영 참여를 통해 지속적인 이익을 취할 목적인 직접투자, 주식과 채권거래를 나타내는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거래를 계상하는 파생금융상품, 대출, 차입 등의 기타투자 및 통화당국이 보유한 외환보유액의 거래 변동을 계상하는 준비자산으로 구분된다”고 말했다.

월별 금융계정 및 자본수지(억달러). 사진=연합뉴스

8월 수출(통관 기준)은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한 512억달러를 기록해 선박을 제외하면 전년 동기 대비 13.1% 증가를 나타냈다.

품목별로 보면 석유제품, 반도체 등에 대한 수출은 증가한 반면 선박, 가전제품 등은 감소했다. 중국, 동남아 등에 대한 수출은 증가한 반면 중동, EU 등은 감소했다.

수입(통관기준)은 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한 443억4000만달러를 기록해 에너지류를 제외하면 전년 동기 대비 0.3% 감소를 나타냈다.

품목별로 보면 원자재 수입이 25.6% 증가한 반면 자본재 및 소비재는 각각 6.5%, 1.3% 감소했다.

최 팀장은 “국제수지의 상품 수출입은 국제수지매뉴얼(BPM6)의 소유권 변동 원칙에 따라 국내 및 해외에서 이뤄진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 모든 수출입거래를 계상하고 있어 국내에서 통관 신고된 물품을 대상으로 하는 통관 기준 수출입과는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파이낸셜투데이 강창우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