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가계부채 증가 지속, 금융불균형 더해” 인상 가능성
9월 “오랜 저금리로 금융불균형이 쌓일 것인가 봐야” 동결 가능성
외국인, 코스피 매도로 전환…매도 포지션 유지되면 올해 안에 인상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사진=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분석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총재는 “누증되고 있는 금융불균형을 점진적으로 해소하는 등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4일 오전 서울 한국은행 본부 17층 소회의실에서 주요 기관 인사들과 ‘경제동향간담회’를 개최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또한 이 총재는 “소득증가율을 웃도는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금융불균형이 더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10년간 국내 경제에 대해 이 총재는 “대외지급 능력과 금융 기관의 건전성이 개선돼 우리 경제의 대외 충격 흡수력이 크게 높아졌다”면서도 “주력 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저출산과 고령화가 심화되는 등 성장 잠재력이 저하됐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의 발언이 알려지자 금융계에서는 이 총재가 금리인상 필요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했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 관계자들은 말을 아꼈지만 금융불균형 누증이 저금리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와 부동산으로의 자금 쏠림 현상 등을 가리켜 저금리의 부작용을 언급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앞서 지난달 27일 금통위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상(1.75~2.0%→2.0~2.25%)으로 한미 간 금리역전 현상에 대한 우려에 대해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평가한 바 있다.

또한 이 총재는 “미국의 금리인상은 이미 예견된 것이고 (12월) 금리인상 전망도 시장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국내 금융시장이 큰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3주 남은 금통위까지 많은 변수가 있을 것이다. 오랜 저금리로 금융불균형이 어느 정도 쌓일 것인가도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리인상 전망에 대해 이 총재는 “국내 물가와 고용 사정이 금리를 올리기에는 미흡하다”고 못을 박았다.

하지만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연내에 금리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은 갈수곡 높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 총재가 금융불균형을 9, 10월에 걸쳐 언급하면서 한 번은 금리동결, 한 번은 금리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것에 대해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들의 매도와 관련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9월에는 미 금리인상에도 외국인은 27일까지 매수했지만 공교롭게도 28일부터 이달 4일까지는 1조원 넘게 매도하고 있다. 매도 기간 코스피는 연속 하락세를 보였고 4일에는 –1.52% 급락했다.

따라서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진다면 18일 열릴 금통위에서는 금리인상을 전격 단행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올해 금통위는 11월 30일에 마지막으로 개최된다.

한편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날 간담회 참석자들은 최근 국내 경제는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대내외 여건의 변화로 인해 향후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 증대됐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또 내외금리차 확대가 우리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계감을 가지는 한편 일부 취약신흥국의 금융 불안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면밀히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미중 간 무역분쟁과 관련해서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수출경쟁력 제고, 교역구조 개선 등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도 있었다.

단기시계의 정책도 중요하지만 제조업 경쟁력 강화, 노동시장 효율화, 규제 완화 등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중장기 대책을 꾸준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었다.

파이낸셜투데이 강창우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