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기순이익, 2011년 이후 가장 높지만 흐름 지속 어려워
금융위, 한국은행 등 “추세적으로 나빠질 것 같지 않다” 주장

사진=연합뉴스

국내 은행들의 실적 전망에 먹구름이 끼었다. 지난해부터 실적이 급등한 은행들은 올해까지 상승 추세를 이어갔지만 이 같은 흐름이 지속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금융연구원 이병윤 선임연구위원은 “올 상반기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000억원 증가한 8조 4000억원을 기록했고 순이자마진은 1.67%로 작년의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며 “비이자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이익 증가와 부실 축소에 따른 대손비용 감소에 기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에 따르면 비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조5000억원 감소한 3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IFRS9 시행에 따른 회계기준 변경의 영향으로 유가증권 매매 이익이 감소하고 달러 강세로 외화순부채 상황에서 외환·파생 관련 이익이 감소했다.

이자이익은 금리 상승기에 예대금리 차이가 확대돼 전년 동기 대비 1조7000억원 증가한 19조7000억원을 기록한 반면 대손비용은 1조7000억 감소한 1조원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2011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10조원을 기록한 이후 하락했다가 지난해 8조원을 넘어서며 반등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 연구위원은 ‘2018년 상반기 국내은행 영업실적과 향후 전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상승 추세가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국내 은행이 가계대출을 억제하는 대신 비외감 중소기업 대출을 많이 늘렸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는 분석이었다.

또한 은행의 자산 성장이 한계를 보이는 데다 판관비 부담, 자본규제 개편에 따른 조달비용 상승 가능성, 진입규제 완화에 따른 경쟁 심화가 향후 은행의 실적 전망에 부담 요인이라는 설명이었다.

이 연구위원은 “국내 은행의 자산 구성은 가계대출 익스포져(리스크 노출 금액)가 많은 상태에서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으로 비외감 중소기업대출이 크게 늘고 있어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은행이 금융당국의 정책에 영향을 받아 리스크가 늘어났다는 분석인 셈이다.

특히 은행은 포화 상태인 외감 중소기업 대신 비외감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을 늘렸다.

자산 규모 70억 미만이고 기업신용평가등급의 평가 요소가 재무제표에 없는 비외감 중소기업은 수출 대기업의 협력업체가 많고 수출 동향에 민감하다. 따라서 미중 무역 갈등 고조 등으로 수출이 악화되면 작은 충격에도 부실해질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위원은 “은행들은 미중 무역 갈등, 미국 금리인상 등이 경기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예의주시하며 부정적 영향이 예상되는 기업에 대해서는 무조건 대출 회수보다는 사업 성공 가능성에 대한 평가 등을 통해 선제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리스크 관리에도 충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 연구위원은 “예대율 규제에 적용되는 예대율 산정 시 가계대출 가중치는 상향(+15%)하고 기업대출 가중치는 하향(-15%)하는 자본규제 개편이 오는 2020년부터 시행돼 내년에는 이에 대비해야 한다”며 “이 규제의 대출 기준이 잔액 기준이어서 단기간에 조정이 어려움에 따라 예대율 규제 준수를 위해서는 예금을 늘려야 하고 이에 따른 조달비용 상승이 수익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진입 규제 완화 정책에 대해 이 연구위원은 “인터넷전문은행들이 증자를 통해 규모를 키우고 신규 인터넷전문은행이 인가되면 시장 경쟁이 강화돼 은행들의 수익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 등은 이 연구위원의 전망에 고개를 갸웃거렸다.

금융위 관계자는 “미시적 정책을 하는 금융위는 정책 방향의 전환으로 시장에 시그널을 줄 때와 전망이 정확할 때 외에는 전망을 하지 않는다”며 “현재까지 나쁜 지표가 나타나지 않아 키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한국은행 관계자 역시 “외부 환경이 나빠지고 있는 건 맞지만 추세적으로 나빠질 것 같지는 않다”며 “은행이 경기와 규제에 영향을 받지만 갑자기 나빠질 요인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강창우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