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 “당분간 양적완화 기조 유지해야 국제 경기 회복될 것”

마리오 드라기 EU중앙은행(ECD) 총재(좌)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우). 사진=연합뉴스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의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8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미국, EU, 영국, 일본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일제히 자국 통화를 흡수하면서 시중에 돈이 부족해져 세계 실물경제 회복력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ed)는 금리를 완만하게 인상 중이고, EU 중앙은행(ECB)은 올해 내에 자산매입 중단을 선언했다. 잉글랜드 은행은 이미 2차례 금리를 인상했으며 3번째 금리 인상을 저울질하고 있다. 일본은행도 일본과 세계 시장에 도는 엔화를 회수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미국 및 EU 중앙은행은 경기과열 방지를 긴축적 통화정책의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다”며, “그러나 양적 완화 중심의 통화정책이 당분간 지속되더라도 경기과열 등 위험 징후는 낮은 편이며, 오히려 경제 성장에 제동을 거는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 중앙은행들의 이 같은 기조는 한국경제에도 나쁜 소식”이라고 경고했다.

성윤태 연세대학교 교수는 “한국 기업의 수익성과 경기상황에 영향을 받는 장기적 자금이 떠난다면 큰 문제”라며, “Fed 외에도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금리가 우리 기준금리보다 더 높은 현상이 늘어난다면 외인들의 자금이탈 가능성도 높아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세계 주요국들의 중앙은행들은 2018년 미국의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와 유럽의 재정위기로 촉발된 글로벌 경기침체 이후 양적 완화를 중심으로 하는 통화 확장정책을 펼쳤다.

양적 완화란 중앙은행들이 자국의 통화를 적절한 수준 이상으로 발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발행된 과잉 통화는 경기회복에 필요한 분야에 직접 투입하여 일시적으로 도산 위기에 빠진 기업과 지자체 등이 위기에서 빠져나오는 마중물로 활용된다.

양적완화 정책으로 발행된 돈이 시중에 무한정 돌게 되면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여 인플레이션과 스테그플레이션을 불러오는 원인이 된다.

이로인해 각 중앙은행들은 적절한 시기에 양적 완화로 발행한 화폐는 적절한 시점에 다시 회수해야 한다. 이 때 사용되는 방식이 통화안정증권 혹은 국채 등 채권의 발행, 보유 실물자산의 매각 등이 사용된다.

파이낸셜투데이 박현군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