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보유에 따른 계층간 불균형, 소득보다 더 커져
“정부, 주거인프라 구축 및 공공주택 공급 등 장기적 접근”

서울 마포구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고가 아파트 거래가격이 급등하면서 저가 아파트와 가격 격차가 더 커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6일 부동산정보 서비스 직방은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아파트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상위 10%와 하위 10%의 평균 거래가격은 올 상반기 14.2배로 나타났다. 지난해(13.9배)보다 격차가 더 벌어졌다”고 밝혔다.

이번 분석에 따르면 상위 10%와 하위 10%의 차이는 2016년 전년 대비 1.3p, 지난해에는 1.6p 증가했다. 직방은 “저가 아파트와 고가 아파트의 거래가격 차이는 고가 아파트의 거래가 급등이 원인이다”고 분석됐다.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가 상위 10%의 평균 가격은 2014년 6억원을 돌파한 이후 급격히 상승해 지난해 9.12억원으로 집계됐다.

시장이 침체기에 접어들면서 고가 대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는 낮아졌다. 가격 하락으로 발생한 손실 및 구입에 필요한 자금과 이자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 수요자들이 선뜻 매입에 나서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가 아파트의 수요층이 제한되면서 매수할 수요가 많지 않은 점도 침체기 시장에서 선호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됐다.

이후 2013년부터 나타난 상위 10% 아파트 거래가격 상승은 서울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가 영향을 미쳤다.

일반분양의 분양가가 상승하고 투자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가격이 급등했다. 거래가격 상위 10%에서 건축 연한이 30년 이상 된 아파트는 2011년 3.5%에서 지난해 14.2%로 약 4배가 증가했다.

재건축을 통해 신규 아파트로 전환되면서 발생하는 가치상승과 분양가 상승으로 개선되는 사업성이 노후 아파트에 대한 투자수요를 끌어들였다. 이와 함께 저금리 및 수월한 대출 환경 역시 매입자금 조달 및 이자비용에 대한 부담을 낮추면서 수요층을 넓히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고가 아파트 시장의 거래 활성화는 전반적인 아파트 매매시장의 호황으로 이어졌으나 계층간 불균형을 더 심화시켰다.

지난해 소득 상위 10%와 하위 10%의 격차는 10.6배로 조사됐다. 2015년 9.1배에서 1.5p 커진 수준이다. 하지만 아파트 거래가격은 2015년 11.0배에서 지난해 13.9배로 2.9p 늘어났다.

같은 기준 소득보다 아파트 거래가격 차이가 더욱 확대됐다. 자산 보유에 따른 계층 간 불균형이 소득에 비해 더 커진 셈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재정개혁특별위원회가 제안한 종합부동산세 강화는 자산에 따른 계층 간 불균형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고가 아파트 시장을 위축시키고 수요를 차단하는 것으로 시장 안정 및 계층 격차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정부가 정책규제로 개입하는 것 외에 시장 참여자로 적극적으로 인프라를 구축하고 주거 불균형 해소를 위한 공공주택 공급 등 장기적인 역할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남홍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